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을 종전과 같은 2.5%로 유지했다. 미국 성장률은 0.2% 포인트 올린 반면 중국과 일본은 각각 0.2% 포인트, 0.4% 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IMF는 22일(현지시간)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7월과 같은 3.2%로 전망했다. IMF는 1년에 4차례(1·4·7·10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한다. 그중 4·10월은 회원국 전체를 대상으로, 1·7월은 한국을 포함한 30개국을 대상으로 수정 전망을 발표한다.
IMF는 한국의 성장률을 7월과 같은 2.5%로 내다봤다. 그간 발표된 정부(2.6%), 한국은행(2.4%), KDI(2.5%) 전망치와 유사하다. 반면 일부 국가들은 전망치가 수정됐다. 미국의 성장률은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소비 개선 등 영향으로 기존 전망보다 0.2% 포인트 상승한 2.8%로 전망됐다. 영국(1.1%), 프랑스(1.1%) 등 대부분 유럽 국가 성장률도 통화정책 완화 영향으로 상향 조정됐다. 반면 일본은 자동차 생산 차질 등 영향으로 7월 전망보다 0.4% 포인트 내린 0.3%로 하향 조정됐다. 중국도 0.2% 포인트 내린 4.8%였다. 부동산 시장 침체 지속 및 소비 심리 악화 때문이다.
IMF는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 신흥개도국 그룹의 성장률은 4.2%로 전망했다. 이어 중국 부동산 부문 위축 지속,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및 지정학적 위기 심화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7월 전망에 비해 세계 경제의 하방 조정 위험 요인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세종=김윤 기자 k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