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이트 논란 독립기념관장 1945년 광복, 두 달 만에 인정

입력 2024-10-23 00:28
22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가보훈부, 독립기념관 등의 국정감사에서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정부 뉴라이트 인사 논란의 중심에 섰던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국정감사장에서 1945년 광복을 인정한다는 뜻을 밝혔다. 야당은 김 관장의 역사관과 더불어 국가보훈부가 추진 중인 ‘제2독립기념관’을 공격하는 데 주력했다. 여당은 각종 보훈 대상자 지원 사업을 문제삼으며 정부를 질타했다.

김 관장은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해 “대한민국이 1945년에 광복됐다는 것을 인정하느냐”는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 질의에 “인정한다”고 답변했다. 지난 8월 26일 정무위 전체회의에서 같은 질문에 “관장 자격으로는 제가 코멘트할 내용이 없다”고 말한 지 약 두 달 만이다.

김 관장은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학문적 견해와 공직자로서의 역할이 충돌하면 무엇을 우선시하겠느냐”고 묻자 “공직자로서의 역할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앞서 관장 면접 당시 일제강점기 한국인이 일본 국적이었다고 답변했던 것을 두고는 “공직자로선 우리 정부 정책을 존중한다”면서도 “역사학자로서의 소신”이라고 밝혔다.

야당은 보훈부의 국내민족독립운동기념관 사업을 고리로 뉴라이트사관 공세를 이어갔다. 기존 독립기념관 증축 등 대안이 있는데도 국내 독립운동을 조명하겠다며 새 기념관을 지음으로써 친일 행적 논란이 있는 인사들을 재평가하려는 것 아니냐는 취지다.

추진 과정에 대한 문제 제기도 잇따랐다. 해당 사업이 당초 보훈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담기지 않았다가 급히 추가됐으며 부지를 확보하기도 전에 설계부터 한다는 것이다. 박상혁 민주당 의원은 “‘모든 독립운동의 가치가 합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삼일절 경축사 이후 관련 용역이 발주되고 김 관장이 임명되고 국내독립운동기념관 예산이 편성됐다”며 “결국 이승만 기념관을 만들고 싶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새 기념관은 이승만 전 대통령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며 “광복 80주년 사업으로 다양한 걸 하면서 수렴된 그런 결과”라고 설명했다. 사업 부지 등 관련해선 “정해진 바 없다”며 “향후 여러 위원과 관련 기관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를 향한 지적은 여당 쪽에서도 나왔다. 국민의힘 간사인 강민국 의원은 “보훈부가 보청기 지급을 위해 대상자 1인당 246만원을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에 내려보내고 있으나 정작 보청기 구입가는 한 대당 평균 31만6000원”이라며 “감사원 감사, 수사 대상”이라고 지적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