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조작 의혹이 제기된 명태균씨의 여론조사 결과를 받아본 뒤 만족해 했다고 제보자 강혜경씨가 국회에서 증언했다. 윤 대통령이 정치 브로커 명씨 보고를 직접 받아본 뒤 피드백도 했다는 주장이다.
강씨는 2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명씨가 국민의힘 대선 경선 시기인 2021년 9월 미공개 여론조사 결과를 당시 후보인 윤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한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강씨는 “(명씨가) ‘윤 후보에게 (여론조사 내용을) 보고해야 한다. 궁금해하니 빨리 자료를 만들어 달라’고 했다. (이를) 윤 후보에게 직접 보고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강씨는 “(자료를) 실물로도 가져갔고, 카카오톡으로도 전달했다”며 “보고서를 받고 윤 후보가 흡족해한다는 말씀을 (명씨가) 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명씨는 당내 경선 과정에서 윤 후보 지지율이 경쟁자였던 홍준표 후보보다 높게 나오도록 조정할 것을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강씨는 또 명씨가 윤 후보를 위해 계약서 없이 여론조사를 수행했으며, 이에 대한 청구서를 명씨 지시로 직접 만들었다고 증언했다. 그는 “지난 대선 때 미래한국연구소는 공표 조사를 포함해 자체 조사까지 81번에 걸쳐 여론조사를 진행했다”며 “김 여사가 돈을 챙겨주려 한다고 해서 명씨에게 (비용) 견적서를 보냈는데 (명씨가) 돈은 안 받아왔고, 김영선 전 의원 공천을 받아왔다”고 말했다. 또 “당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윤상현 공관위원장이 힘을 합쳐서 창원의창을 전략공천 지역으로 만들었다. 김 여사가 공천을 준 것”이라는 주장도 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소속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국민의힘 대선 회계장부에는 이게(청구서가) 안 올라갔다. 비용을 써서 여론조사를 한 뒤 참고했다는 건 회계장부 조작이 될 수 있다”며 “대선 무효까지 갈 수 있는 중대한 위법 행위”라고 발언했다. 이에 강씨는 “그렇다”고 답했다.
강씨는 또 김 전 의원이 이른바 ‘반반 세비’를 명씨에게 지급한 이유에 대해 “공천에 기여를 했기 때문”이라며 총 9600만원이 지급됐다는 주장도 폈다.
강씨는 이날 자신의 법률대리인인 노영희 변호사를 통해 명씨와 여론조사 의뢰 관계를 맺었던 정치인 27명의 명단도 공개했다. 개혁신당 이 의원,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국민의힘 나경원·안철수·윤상현, 더불어민주당 김두관·이언주 의원, 정의당 여영국 전 대표 등이 포함됐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