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1일 오후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의 차담 회동에서 한 대표가 국정과 관련해 제기하는 여러 문제점과 요구들을 경청하고, 대통령으로서 성의 있게 답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20일 전해졌다. 의제 제한 없이 이뤄질 윤 대통령과 한 대표 회동에서는 김건희 여사의 공개활동 자제 등 여당 측 요구사항 외에도 야권의 공세에 대한 당정 공동 대응, 개혁 과제 추진을 위한 협력 등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0일 “한 대표가 제기하는 문제들에 대해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성의 있게 답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들은 이번 만남이 대통령과 집권여당 대표의 긴밀한 만남인 만큼 국정 전반을 놓고 기탄 없는 대화가 오갈 것이라고 공통적으로 예측했다. 또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모든 것을 열어놓고 대화할 것이며, 바로 결론이 도출되지 않더라도 당정의 향후 협의가 약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제가 미리 선별·제한되지 않으면서 윤 대통령과 한 대표 사이에는 김 여사와 관련한 불편한 대화가 오갈 것이 기정사실화됐다. 한 대표가 김 여사에 대해 앞서 공개적으로 제기한 ‘인적 쇄신’ ‘대외활동 중단’ ‘의혹 규명 절차 협조’ 등 3대 요구에 대해서는 윤 대통령의 수용 여부가 결정되거나 참모들과 공유된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한마디로 말해 두 사람이 잘 알아서 할 문제”라고 말했다. 다른 고위 관계자는 “비서들이 먼저 말할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고 설명했다.
국민적 관심이 결부된 회동인 만큼 윤 대통령과 한 대표의 논의 내용 일부는 대통령실을 통해 공개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회동 자리에서 한 대표의 요구사항과 관련한 명확한 의사결정이나 약속이 도출될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 예를 들어 ‘여사 라인’ 정리 요구의 경우 대통령실은 “대통령실에는 ‘대통령 라인’만 있다”고 밝힌 상황이라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동일선상에서 논의하기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기본적으로는 대통령이 ‘듣는 자리’”라고 말했다.
그간 김 여사를 둘러싼 여권 내부 충돌이 격화했던 만큼 이번 회동을 당정 협력의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여권 내에서 나온다. 야권의 특검법 공세에 대한 ‘단일대오’ 대응, ‘4+1 개혁’ 추진 과제에 대한 공동 협력 정도는 합의돼야 한다는 것이다. 여권 관계자는 “당정이 부딪히는 일을 국민들이 얼마나 사납게 바라봤겠느냐”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