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반도체 전쟁 중… 정부, 기술인재 전폭적 지원 필요

입력 2024-10-21 01:11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청년 인재 양성도 중요하지만 핵심 엔지니어를 위한 ‘핀셋 지원’이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병훈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교수는 20일 “반도체 패권을 두고 경쟁하는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건 수년 후 만들어질 반도체 인재가 아니라 지금 당장 연봉 30억~50억원에 달하는 핵심 엔지니어들을 데려오는 것”이라며 “삼성 같은 국내 기업들은 대만 TSMC보다 핵심 인력에 제시하는 연봉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핵심 인력을 위한 정부 지원책도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교수는 “기업이 높은 연봉을 제공하면 정부가 세제 혜택이나 발명보상금, 스톡옵션 제공 등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부분이 많지만 현재는 전무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반도체산업에 대해 직무발명보상금을 주겠다고 발표했지만 구체적 규모가 공개되지 않은 데다 해당 법안은 내년 3월에야 시행될 예정이다.

반면 미국과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핵심 인재를 겨냥한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조 바이든 미 행정부는 지난 9월 국가반도체기술센터(NSTC) 내 우수인력센터(WCoE) 출범을 발표했다. 미 상무부는 WCoE에 10년간 2억5000만 달러(약 3420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중국 역시 국가 차원에서 반도체 인재 영입에 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중국 산업정보기술부가 운영하는 ‘치밍(Qiming)’이 대표적이다. 중국은 이를 통해 미국 하버드대나 매사추세츠공대(MIT) 등 유수 대학의 박사학위를 지닌 엔지니어들을 데려오고 있다. 중국 정부는 주택 구매 보조금과 함께 최대 500만 위안(9억원)에 달하는 보너스도 지급한다.

핵심 엔지니어를 위한 지원이 중요한 이유는 반도체 분야에서는 뛰어난 인재 1명이 가져오는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최리노 인하대 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반도체산업에서는 소수의 훌륭한 인재가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며 “이런 인재들은 자기주도적으로 동기부여돼서 오랜 시간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