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대구경북행정통합이 이뤄지면 2045년 지역내총생산(GRDP)이 1512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17일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위상인 ‘대구경북특별시’로 통합하는 최종 중재안을 대구시와 경북도에 제시했다. 행정통합은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이뤄야할 과제라는 것이 시의 생각이다.
현재 대구는 1인당 GRDP가 31년째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경북 22개 시·군 중 15개 지역이 인구감소 지역이며(전국 2위) 최근 경북 10년 성장률은 1.2%에 머물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20년 내에 대구와 경북 모두 지방소멸 고위험군에 진입할 우려가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이 대구경북행정통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구·경북을 통합해 비수도권 거점 경제축으로 조성하기 위한 ‘대구경북특별시 설치에 관한 특별조치법’이 실현되면 대구경북신공항, 풍부한 에너지(원전·SMR), 수자원 등 성장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업 유치가 활발해져 2045년 GRDP가 1512조원(연평균 9% 성장, 8.4배 증가), 일자리가 773만개(현재 대비 504만개 증가, 2.8배 증가), 인구가 1205만명(현재 대비 714만명 증가, 2.4배 증가), 사업체수가 236만개(현재 대비 175만개 증가, 3.8배 증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이 현 추세대로 성장한다고 가정했을 때 2045년 대구경북특별시의 위상은 서울 대비 인구는 1.4배, 일자리는 1.5배, 사업체는 1.4배 수준으로 증가한다. GRDP는 지난 2022년 서울의 0.37배 수준에 불과했지만 2045년에는 서울의 1.3배 수준까지 늘어난다.
황순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대구와 경북이 통합되면 대구경북특별시가 서울특별시와 함께 대한민국 양대축으로 국가 균형발전을 견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17일 경북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행정통합 추진 상황에 대한 질문에 “다음 주중 행정안전부와 지방시대위원회의 중재안에 사인하는 행사가 있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