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新노년층’의 등장… 노인 정책 패러다임 전환 고민해야

입력 2024-10-17 00:32

일하면서 자산까지 불리는,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새로운 노년층’이 등장하고 있다. 은퇴 이후에도 소비·여가생활을 즐기며 사회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이른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노년층의 소비력과 역량, 의료·돌봄 수요, 가구 형태 변화 등을 감안한 노인 정책을 고민해야 할 때다.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조사 대비 65세 이상 노인의 연간 소득, 개인 소득, 금융 자산, 부동산 자산 등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최종 학력 등 교육 수준도 전반적으로 향상됐고 일하는 노인 비중도 39%나 됐다. 자식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고 자식들의 부양에만 노후를 기대는 노인은 줄어들고 있다. 상속 대신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재산을 사용하겠다는 노인들이 계속 늘어나 4명 중 1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부가 같이 사는 비율(55.2%)이 여전히 가장 많았으나 이른바 ‘독거노인’을 가리키는 1인 가구의 비중이 2020년 19.8%에서 32.8%로 급증했다. 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비율은 19.8%에서 10.3%로 줄었다. 노인들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나 돌봄 상황도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지만 1인 가구 만큼은 주관적 건강 상태 인식 비율이나 우울 증상, 생활상의 어려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는 내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전 시기보다 노인 세대 전반의 소득과 건강 상태는 개선되고 있으나 1인 노인 가구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다. 고령화 추세가 이어지면 1인 노인 가구 비중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만큼 노인 복지 정책의 초점을 이들에 맞추는 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숙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