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북한과 군사동맹 수준으로 관계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 조약)에 대한 비준 절차에 들어갔다. 북한의 ‘한국 무인기 평양 침투’ 주장에 대해 러시아는 “한국이 북한 주권을 침해했다”며 우리 정부를 비난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북·러 조약 비준을 위한 연방법 초안을 하원(국가두마)에 제출했다고 타스통신이 보도했다.
앞서 푸틴 대통령은 지난 6월 평양 국빈 방문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러 조약을 체결했다. 조약 4조는 북한과 러시아 중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 상태에 처하면 다른 한쪽이 군사적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북·러 관계는 사실상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조약에는 북·러 양측이 새로운 세계질서에서 상호 협력하고, 식량·에너지·정보통신기술·무역·과학기술 분야에서 협력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조약의 효력은 양측이 각각 비준을 받고 비준서를 교환한 날부터 발생한다. 북한은 지난 7일 최고인민회의 소집을 공지했지만 조약 비준 여부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러시아는 남북 간 무인기 갈등에 대해서도 북한 편을 들고 나섰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북한) 주권에 대한 노골적 침해이자 내정 간섭”이라며 “갈등을 고조시키고 실제 무력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무모하고 도발적인 선동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