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경영 실천을 위한 혁신적인 지배구조 개선이 있어야 합니다.”
이찬희(사진)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은 15일 공개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2023년 연간 보고서’ 발간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경영 판단의 선택과 집중을 위한 컨트롤타워 재건, 조직 내 원활한 소통에 방해가 되는 장막 제거, 최고경영자의 등기임원 복귀 등을 언급했다. 조직문화 혁신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회사 안팎에서 제기되는 미래전략실 부활론이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이사회 복귀 필요성에 힘을 실은 것이다.
이 위원장은 “이 과정에서 있을지 모를 준법경영 위반의 위험에 대해 위원회가 준엄한 원칙의 잣대를 갖고 감시자 역할을 철저히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위기설이 파다한 현재의 삼성에 대해 이 위원장은 “삼성은 현재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국내 최대 기업이지만 예측이 어려울 정도로 급변하는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 경험하지 못한 노조 등장, 구성원의 자부심과 자신감 약화, 인재 영입 어려움과 기술 유출 등 사면초가의 어려움 속에 놓여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이 모든 것을 극복하고 외형적인 1등을 넘어 존경받는 일류 기업으로 변화해야 할 중차대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경영도 생존과 성장을 위해 과감하게 변화해야 한다”며 “과거 삼성의 어떠한 선언이라도 시대에 맞지 않는다면 과감하게 폐기하고, 사법 리스크의 두려움에서도 자신 있게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성원들에게 ‘우리는 삼성인’이라는 자부심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다시 심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민혁 기자 okj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