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5년제는 대학 자율” 해명에도 반발하는 학계

입력 2024-10-15 01:17
김창민 건국대의대·의학전문대학원 학생회장이 14일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조건부 휴학 허용 방침과 의대 교육 단축안 등을 비판하고 있다. 김 회장은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양질의 교육을 망치는 정부 행태가 도를 넘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과대학 교육과정 5년제 단축안에 반발하는 학계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부는 대학 자율에 맡기는 방식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대학 교수회가 의대생 휴학을 불허하는 교육부 방침에 반대하는 성명을 내며 반발했다.

김창민 건국대의대·의학전문대학원 학생회장은 14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람들은 (의대생들이) 이기적이라고 얘기하지만 저희가 매일 시험에 허덕이면서도 의학 공부를 하는 건 직업에 대한 사명감과 보람 덕분이었다”며 “정부가 의대 증원을 졸속 추진하면 교육의 질 저하는 뻔한데, 배운 걸 환자에게 떳떳하게 적용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발표 이후 개별 의대생이 얼굴과 이름을 공개한 기자회견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 회장은 교육부가 발표한 ‘의대 교육 5년 단축’도 비판했다. 김 회장은 “의대 교육을 받아보지 않고 현장 경험도 없이, 탁상공론 주먹구구식 행정으로 양질의 교육을 망치고 있는 정부 행태가 도를 넘었다”며 “의료 교육 질 저하로 오는 폐해는 의대생과 미래 의사들에게만 국한되는 게 아니라 국민에게 돌아간다”고 비판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6일 2025학년도 복귀를 조건으로 휴학을 허용하는 방침과 함께 ‘의대 교육 5년제’ 검토를 발표했다. 하지만 교육과정 단축이 의과 교육의 질을 떨어트린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결국 교육부는 지난 10일 “대학의 자율적 선택에 대한 지원을 의미한다”고 진화에 나섰다.

조건부 휴학에 대한 학계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 서울대 교수회·교수노동조합은 이날 유홍림 서울대 총장에게 보낸 공문에서 “대학 본부가 의과대학의 결정을 존중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서울의대·병원 교수 비대위도 휴학 허가를 요구하면서 “제대로 학생을 교육할 수 없는 것이 자명해진다면 다른 조치를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구체적인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거점국립대학교수연합회도 이날 “의학 교육의 연속성 확보와 (의대) 증원에 따른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의대생의 휴학 승인 여부를 각 대학 학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하기를 공식적으로 요청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휴학 신청을 승인한 서울대 감사 기한을 당초 11일에서 21일까지로 연장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