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국제공항에서 남쪽으로 70㎞ 정도 떨어진 잭슨은 버츠 카운티에 속한 작은 시골 마을이다. 잭슨 중심가와 인접한 한 주택 앞에서 11일(현지시간) 만난 흑인 여성 사브리나 윌리엄스(53)는 “조지아는 대부분 기간 공화당 주였지만 조 바이든이 대통령이 되면서 사람들이 많은 것에 눈을 뜨기 시작했다. 조지아는 더 파란색(민주당 상징색)이 돼야 한다”고 했다.
윌리엄스가 강조한 것은 최저임금이었다. 윌리엄스는 “북부 주로 올라가면 시간당 15달러나 20달러 시급을 주는 일자리가 많지만 조지아에서는 그런 일자리가 없다”며 “26세인 내 딸은 월세를 1500달러 내야 하는데, 시간당 10달러짜리 일자리로는 도저히 감당하기 어렵다. 최저임금 문제 해결이 최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노동계급 출신인 민주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억만장자인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보다 중산층·서민의 경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이었다. 실제로 조지아의 최저 시급은 7.25달러로, 뉴욕(16달러)·버지니아(12달러)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친다.
버츠 카운티의 인구는 2만6000여명. 이곳에서 만난 여러 유권자는 경제 문제 때문에 해리스보다 트럼프를 지지한다고 했다. 2020년 대선에서도 트럼프는 조지아를 바이든에게 내줬지만 버츠 카운티에서만은 71.4%의 득표율로 압도했다. 애틀랜타를 중심으로 확산하는 ‘민주당 바람’이 멈춘 곳이 바로 버츠 카운티다.
백인 남성 유권자들은 약속한 것처럼 이번 대선의 최대 의제로 경제와 불법 이민을 꼽았다. 배관공 일을 하는 제이미(54)는 “경제에서는 항상 공화당이 나았다. 모든 것의 가격이 치솟았다”며 “공화당도 여전히 세금을 부과하지만 민주당보다는 낫다. 공화당은 차악”이라고 말했다.
잭슨 시내의 한 식당에서 점심을 먹고 나오던 마이크 스튜어트(59)는 “적어도 트럼프는 뭘 했는지 알겠는데, 해리스가 한 것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며 “어차피 차악을 골라내는 것이 선거”라고 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다른 백인 남성은 불법 이민자 문제를 언급하면서 “해리스는 헛똑똑이다. 그가 저지른 것들을 생각해 보라”고 반문했다. 트럼프가 해리스를 비난할 때 사용하는 ‘무능한 국경 차르’라는 표현을 그대로 옮긴 것 같은 혹평이었다.
애틀랜타 광역권의 분위기는 조지아의 소도시와 다르다. 2020년 대선에서 애틀랜타가 속한 풀턴 카운티는 72.6%, 인접한 그위넷 카운티는 58.4%의 표를 바이든에게 몰아줬다. 콥 카운티와 디캡 카운티 등 애틀랜타 주변으로 다양한 인종과 젊은 유권자들이 유입되면서 민주당 지지 성향은 더 짙어졌고 넓어졌다. 그 덕에 바이든은 민주당 후보로는 1992년 이후 처음으로 조지아에서 승리했다.
그위넷 카운티의 로렌스빌에서는 해리스에게 기대를 거는 유색 인종 유권자가 많았다. 로렌스빌의 월마트에서 만난 흑인 여성 리브니(50)는 “모든 물가가 올랐는데 월급만 그대로다. 월마트에서 쇼핑할 때조차 물건은 덜 사고 돈은 더 많이 내고 있다”며 경제에 대한 불만을 쏟아냈다. 하지만 그는 “해리스가 노동계급을 위해 무엇이 중요한지 알고 있다”며 “부자에게만 세금 감면 혜택을 주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 그들도 공정한 몫을 지불해야 하고, 노동계급에만 떠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 정책에서 트럼프는 법인세 인하 등 대규모 감세, 해리스는 법인세 인상과 중산층 세액 공제를 내세웠다.
그위넷 카운티의 젊은 유권자도 해리스에게 기울었다. 그위넷칼리지 캠퍼스에서 만난 흑인 여성 새라(24)는 “여성의 재생산권(출산·낙태권) 회복을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한다. 여성은 이 사회의 일부”라며 “여성이 남성과 함께 이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해 왔다는 점을 모두 잊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그의 옆에 있던 흑인 남성 자바니(22)도 “해리스는 우리와 같은 젊은 세대들의 미래에 대해 계획하는 것 같다”며 “나 역시 흑인 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일부 기성세대는 아마도 해리스를 경제를 망치는 사람으로 보고 싶을지 모르지만 나는 그를 리더로, 롤모델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권자들이 자주 말한 것은 ‘차악론’이었다. 선호하지 않는 후보의 승리를 저지할 목적으로 상대 후보에게 표를 행사한다는 것이다. 월마트 앞에서 선적 작업을 하던 백인 남성 알베르토(50)는 “투표를 하겠지만 둘 다 나쁜 후보다. 모두 신뢰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는 “지금 투표를 해야 한다면 아주 조금 덜 나쁜 해리스를 선택하겠다. 하지만 트럼프가 당선될 것 같다”며 “트럼프는 중서부에 가면 농업 일자리를 말하고, 뉴욕에 가면 주식과 사업에 관해 이야기한다. 바보 같은 유권자들은 그런 아첨에 넘어간다”고 했다.
흑인 여성 메리(71)는 “해리스의 성소수자 정책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나쁜 감정은 없지만, 세금을 그들에게 지원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서도 “하지만 해리스에게 투표하겠다. 그 이유는 상대 후보가 트럼프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가 우려하는 것은 선거 이후의 미국이다. 그는 “정작 선거에서는 트럼프가 이길 것 같다”며 “그가 다시 대통령이 된다면 그를 지지하겠다. (트럼프가 재집권해도) 우리의 대통령이기 때문에 그와 싸우고 싶지 않다. 하지만 만약 그가 진다면 정말 전쟁 같은 일이 벌어질 것 같아 두렵다”고 말했다.
잭슨·로렌스빌(조지아)=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