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6개월간 분유를 포함한 다른 보충 음식 없이 온전히 엄마 젖만 먹이는 완전 모유수유가 소아 콩팥질환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장점 많은 모유수유의 효과가 하나 더 확인된 셈이다.
아주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박평강 교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생후 4~6개월간 시행하는 2차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자료를 통해, 2010~2018년 출생한 소아 170만여명을 대상으로 생후 6개월간 수유 형태와 추후 소아기 신증후군 발생률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 완전 모유수유를 한 소아군의 경우 분유수유 소아 그룹보다 신증후군 발생률이 약 20% 더 적었다. 소아 신증후군은 가장 흔한 소아기 콩팥질환의 하나로, 콩팥에서 많은 양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 저알부민혈증, 고지혈증, 전신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아이가 자라면서 점점 회복돼 정상적인 콩팥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나 만성 신부전증으로 진행되기도 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박 교수는 14일 “신증후군은 면역 기능의 조절 이상에 의해 발생하므로 소아기에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해 처음 발생할 수 있다. 모유가 면역 조절 기능을 돕고 감염성 질환을 예방해 신증후군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모유수유는 많은 장점이 있지만 최근 여러 이유로 인해 감소 추세다. 이번 연구가 모유수유의 장점을 널리 알리고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부연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소아 저널’(The journal of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