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일을 워낙 좋아하고 거기에 몰입하다 보니 주변의 다른 직원들에 비해 일의 성과 면에서 점차 차이가 나기 시작했다. 그 당시 한국전력 연수원에서는 해외 기술연수 준비과정의 하나인 영어 연수과정이 있었는데, 회사 부장님은 나를 추천했다.
1984년 나는 미국 플로리다주에 있는 해리스(Harris)사에서 4개월간 기술연수를 받는 행운을 얻었다. 언어장벽에도 불구하고 그곳에서 나는 컴퓨터에 대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그곳의 직원들은 기술유출을 우려했는지 우리를 경계하는 눈길을 멈추지 않았다.
미국에서의 기술 연수는 내게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줬고 한 단계 더 높은 목표를 설정하게 만드는 기회를 제공했다. 연수를 받는 동안 컴퓨터 분야를 더 깊이 공부하고 싶다는 꿈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유학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 새로운 경험은 우리 인생에 있어 중요하다. 그것이 새로운 시작점이 되기 때문이다. 내게 미국 기술연수가 없었다면 아마 미국에 이민 오지는 않았을 것이다.
기술연수 기간이 끝나갈 무렵 나는 함께 연수를 받은 동료들과 미 서부를 관광하기로 했다. 우리는 금전적으로 여유가 없었기에 플로리다에서 그레이하운드 버스로 이틀 동안 밤낮을 달려 로스앤젤레스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다른 두 명의 직장동료와 합류해 샌프란시스코로 향했다.
그 당시 나는 신용카드가 없어서 현금을 소지하고 있었다. 이를 분실하지 않기 위해 몸에 간직하고 다녔다. 내 딴에는 기발한 아이디어라고 고안해낸 숨길 만한 장소가 바로 신발 밑창이었다. 현금 400달러를 휴지로 감싸서 밑창에 단단히 숨겼다. 그래도 나의 불안은 사라질 줄 몰랐다. 수시로 몰래 숨겨놓은 돈을 확인하고 또 확인했다.
LA를 떠난 지 약 두 시간이 지나서 우리는 점심을 먹기 위해 작은 마을에 들렀다. 그때 나는 밑창에 넣어둔 돈을 꺼내어 사용하기 편하도록 잠시 바지 주머니로 옮겼다. 점심을 먹은 후 쓰레기를 치우면서 나는 호주머니에 든 잡동사니를 꺼내 쓰레기통에 버렸다. 그곳을 출발한 후 두세 시간이 지나서야 문득 휴지에 쌓인 내 비상금이 떠올랐다. 순간 난감했다. 혼자라면 차를 되돌려 가기라도 하겠지만 일행과 동행하고 있던 상황에 차마 돌아가자는 제안을 할 수 없었다. 더구나 내 어리석은 행동을 그들에게 말할 수도 없었다.
이 사건은 타인을 향한 불신으로 인해 내가 판 함정에 내가 스스로 빠질 수 있음을 보여준 좋은 경험이 됐다. 다른 사람을 지나치게 의심한 것이 불찰이었음을 뼈저리게 느꼈다.
기술연수를 마치고 돌아온 내게 부산전력관리본부에 새로 들어오는 스카다(SCADA) 시스템을 설치하는 업무가 내려졌다. 이전까지만 해도 미국의 공급회사에 고액의 비용을 내면서 설치했기 때문에 부담스러웠다. 하지만 나는 그 설치 작업에 도전해보기로 했다.
한 달간의 고생 끝에 나는 시스템을 제대로 설치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자신감을 갖게 됐다. 패기에 찬 젊은 내가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과 배려를 아끼지 않았던 회사에 첫 보답을 한 셈이었다.
한국전력으로 복귀한 후로도 나는 스카다 시스템 분야에서만큼은 최고 기술자가 되기 위해 여전히 박차를 가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으론 미국으로 건너가 학업을 계속하겠다는 목표 아래 유학 준비도 병행했다. 2년의 준비과정을 거쳐 미국 뉴저지주에 있는 스티븐스 공과대학으로부터 입학 허가를 따내는 데 성공했다.
정리=김동규 기자 k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