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싱가포르 대학과 수소 등 새로운 에너지 발굴을 위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등 혁신제조 분야에선 기업과 대학뿐 아니라 싱가포르 정부까지 참여하는 공동연구소를 세우고, 연구개발(R&D)에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8일 싱가포르 리츠칼튼 호텔에서 열린 ‘한국-싱가포르 비즈니스포럼’에서 난양이공대학과 신에너지 부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난양이공대는 올해 영국의 글로벌 대학평가기관 쿼카렐리시몬즈(QS)가 발표한 전 세계 공과대학 순위에서 14위(아시아 2위)에 오른 연구중심 대학교다.
현대차그룹과 난양이공대는 수소 에너지(현대차), 차세대 발전사업(현대건설) 등 신에너지 분야에서 싱가포르에 적합한 대체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한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자원순환형 수소를 통한 발전, 수소 전기차를 통한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등이 연구 대상이다.
자원순환형 수소는 음식물 쓰레기나 플라스틱에서 생산한 친환경 수소 에너지로 수소 전기차 충전에 활용할 수 있다. 현대차는 내년부터 충북 청주에서 하루 500㎏의 자원순환형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난양이공대,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산하 기술개발 연구소인 과학기술청(A*star)과 ‘3자 기업 연구소’ 설립 조인식도 체결했다. 연구소에선 AI, 로보틱스 등 혁신 제조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지난해 11월 열린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가 연구개발의 거점 역할을 하게 된다.
난양이공대는 영국 QS 대학 평가 기준으로 AI(8위)와 컴퓨터공학(9위), 전기전자공학(10위) 등 3개 분야에서 세계 10위 안에 올라있다. 18개, 연구진 6000여 명을 두고 있는 과학기술청은 첨단제조기술 개발센터(ARTC)는 기술 상용화 분야에 특화돼 있는 기관이다. 박현성 HMGICS 상무는 “혁신제조 분야에서 싱가포르 인재와의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