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을 수도권 일극 체제에 대응하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육성하기 위한 2024 영남미래포럼이 8일 대구 호텔인터불고에서 열렸다. 국민일보 주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영남이 이끄는 역동적 지방시대’를 주제로 대구 부산 울산 경남 경북 등 영남권 5개 시·도가 참여해 다양한 초광역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에 앞서 열린 제5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에서는 홍준표 대구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지사 등 영남권 시·도지사가 참석해 ‘대한민국의 선진 대국시대 도약’을 위한 공동 협약서에 서명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어진 포럼에는 김선조 대구시 행정부시장, 이준승 부산시 행정부시장, 안승대 울산시 행정부시장,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등이 참여해 지방시대 선도 방안을 논의했다.
포럼에서는 영남권이 지방 균형 발전의 중심축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논의됐다.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된 지방 발전을 위한 영남권의 협력 중요성도 강조됐다. 우동기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이 ‘지방 상생 발전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기조 강연에 나서 윤석열정부 지방정책에 대해 설명했다.
대구와 경북은 대구경북신공항을 중심으로 한 남부권 신경제권 구상을 발표했다. TK신공항이 완공되면 첨단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져 대구·경북이 남부권 경제의 중심지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부산은 역점적으로 추진 중인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을 통해 규제 완화, 신산업 육성, 주거 및 교육 환경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특히 물류, 금융, 반도체,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중심으로 부산을 남부권의 거점 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부산의 성장이 영남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울산은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을 통해 에너지 산업의 균형 발전을 추진 중이며, 경남은 우주항공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글로벌 우주항공의 중심지로 도약할 계획을 발표했다.
대구=윤일선 최일영 안창한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