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RNA 발견 美 2인 노벨생리의학상 수상 영예

입력 2024-10-08 03:07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의 영예는 암이나 신경질환 등 난치병의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는 ‘마이크로RNA(miRNA)’를 처음 발견한 미국의 생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miRNA는 세포 내에서 유전자의 발현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분자로, 인간 등 복잡한 생명체의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학연구소 노벨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빅터 앰브로스(71) 미국 매사추세츠의대 자연과학 교수와 게리 러브컨(72) 하버드의대 유전학 교수를 2024 노벨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이들의 연구를 통해 miRNA가 중요한 유전자 발현 조절자로 인간을 포함한 생물에서 세포 발달, 분화, 질병 진행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것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miRNA는 20~24개 염기로 이뤄진 작은 RNA(리보핵산)를 말한다. 보통의 RNA와 달리 단백질을 암호화(생성)하지 않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인간의 전체 유전자를 운영하는 데는 1000개 이상의 miRNA가 관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앰브로스 교수는 1993년 미생물인 예쁜 꼬마선충(C.elegans)의 배아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를 찾다가 miRNA를 최초로 발견했다. 러브컨 교수는 miRNA가 생물의 유전자 발현에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서울아산병원 생리학교실 장수환 교수는 “두 학자의 연구는 암, 심혈관질환, 파킨슨병 같은 신경질환 등 다양한 질병에서 유전적 조절 기전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밝히는데 기여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