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이차전지·모빌리티 특구 심의… 첨단산업 육성 박차

입력 2024-10-08 01:48
지난해 10월 부산시 지방시대위원회 출범식 모습.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이차전지, 모빌리티, 전력반도체를 연계한 기회발전특구 계획을 마련해 이달 중 정부에 신청한다.

부산시는 7일 부산시티호텔에서 제7회 부산시 지방시대위원회 회의를 열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두 가지 특구 사업을 심의했다. 안건은 ‘이차전지·모빌리티 및 전력반도체 기회발전특구 계획’과 ‘부산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 변경 계획’이다.

시는 이차전지와 전력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기업 투자를 유치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이차전지·모빌리티 및 전력반도체 기회발전특구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첨단 산업을 선도하며, 일자리 창출과 기술 혁신을 도모할 방침이다.

부산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 변경 계획은 기존 특구 사업자를 20개에서 43개로 확대해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글로벌 인증 체계를 구축하고,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딥테크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시는 이를 통해 글로벌 해양 산업의 중심지로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두 가지 안건은 부산지방시대위원회의 최종 심의를 거쳐 이달 중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될 예정이다. 시는 정부로부터 특구 지정을 받게 되면 기업 유치와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회의에 앞서 열린 워크숍에서는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을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박재율 지방분권균형발전부산시민연대 상임대표는 ‘수도권 초집중,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분권 균형발전 헌법 개정 추진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며, 지방정부의 자율성과 권한 강화를 통한 균형발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신현석 부산연구원 원장은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및 부울경 초광역 통합과 남부권 발전 전략’을 발표하며, 부산이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신 원장은 부울경 초광역 협력이 남부권 발전의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부산을 중심으로 한 남부권 경제권이 국토 균형발전과 경제 성장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도덕희 부산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은 “부산지방시대위원회가 출범한 지 1년이 되는 시점에서 그동안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했다”며 “부산이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의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