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장기화 여파 속에 비수도권 지역에서 3대 암(위암·대장암·간암) 진단을 받은 환자 중 1개월 이내에 수술을 받지 못한 비율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공백 사태가 의료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수도권 지역 환자들에게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4월 3대 암 환자 가운데 진단 후 1개월 이내에 수술받지 못한 비수도권 환자 비율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3% 포인트 늘어난 40.1%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10명 중 4명가량은 신속한 수술을 받지 못했다는 뜻이다. 1개월 안에 수술받지 못한 수도권(32.6%)과 비수도권 환자의 비율 격차는 7.5% 포인트를 보여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지역별로 울산(14.9%p)과 대전(12.2%p)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크게 늘었다. 광주(8.8%p), 전남(7.9%p), 경북(7.2%p)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비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서는 1개월 내 수술받지 못한 비율이 오히려 0.1% 포인트 감소했다.
서울 ‘빅5 병원’(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병원)을 찾는 지방 환자 수도 크게 늘었다. 빅5 병원의 비수도권 환자 수는 2020년 59만3557명에서 지난해 72만1930명으로 증가했으며, 의료 공백 사태가 이어진 올해는 상반기에만 이미 45만8964명이 상경해 진료를 받았다.
3대 암 진단 후 1개월 이내에 수술받지 못한 비율은 10년 전인 2014년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각각 28.0%, 28.2%로 별반 차이가 없었지만 이후 해마다 격차가 벌어져 지난해는 각각 34.0%와 39.3%를 기록해 5.3% 포인트로 격차가 났다. 장 의원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커져 온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 격차 문제가 올해 의·정 갈등으로 인해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