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외교안보 참모인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의 최근 발언에 대해 “위험한 질문”이라고 비판했다.
오브라이언 전 보좌관은 30일(현지시간) 한·미·일 3국 안보·경제 전문가 네트워크 ‘트라이포럼’이 워싱턴DC 존스홉킨스대 블룸버그센터에서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말하며 “우리가 그 길로 가기로 결정한다면 그것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는 것인데 나는 우리가 거기에 있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오브라이언은 “그(그로시)가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러시아·중국과 같은 방식으로 군비통제를 시작하려고 한다면 그 시점에 왜 한국·일본과 다른 나라가 억지력을 위해 자체적인 핵무기를 가지려고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오브라이언은 “트럼프가 이번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에도 목표는 비핵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의) 김씨 일가는 마피아처럼 권력을 계속 유지하고 싶어 하며 그들은 핵무기가 정권을 유지해준다고 믿는다”면서도 “우리는 계속해서 그것(비핵화)을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브라이언은 트럼프가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을 압박하는 것과 관련해 “더 많은 돈을 분담할 것을 요구하는 건 동맹에 대한 거부가 아니다”며 “그건 동맹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인정”이라고 주장했다.
오브라이언은 트럼프 재집권 시 북핵을 용인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선 “트럼프는 억제력으로 시작했다. 북한에 대해 강경한 정책을 취했고 북한을 긴장시켰다”며 “김정은은 한반도에서의 비핵화에 동의했지만 결국 그것을 이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는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이 합법적인 자위권을 놓고 과거로 돌아가지 않을 것이며 ‘핵보유국’이라는 국위를 놓고 누구와도 흥정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사는 또 “미국의 그 어떤 정권도 달라진 조선을 상대해야 할 것”이라며 핵보유국 인정을 우회적으로 요구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