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국내 생산과 소비가 나란히 늘며 7개월 만에 쌍끌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자동차와 반도체 생산 호조세가 이어졌고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가 18개월 만에 가장 크게 늘었다. 다만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5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하는 등 경기 불확실성도 여전한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은 30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에서 전(全)산업 생산지수가 113.7(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로 전월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0.8%)부터 감소세를 이어오다 4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생산 부문별로는 광공업(4.1%)이 지난해 8월(5.4%) 이후 가장 크게 늘며 증가세를 주도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22.7%)와 반도체(6.0%)의 생산 증가율이 컸다. 특히 자동차 생산은 2020년 6월(23.9%) 이후 50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었다. 서비스업 생산도 0.2% 증가해 3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내수와 밀접한 도소매업(3.0%)과 숙박·음식점(4.4%) 생산 증가가 두드러졌다.
소비에선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7% 증가하며 지난해 2월(4.0%) 이후 가장 크게 늘었다. 생산과 소비가 나란히 증가한 것은 지난 1월(생산 0.3%·소비 1.0%) 이후 7개월 만이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7%)와 승용차 등 내구재(1.2%) 판매가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휴가철로 내국인 이동 수요와 외국인 관광객이 늘었고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어 야외활동도 활발했던 영향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다만 투자는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8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15.4%)와 기계류(-1%)를 중심으로 전월 대비 5.4% 줄었다. 공사 실적을 나타내는 건설기성도 토목(2.4%)은 늘었지만 건축(-2.4%) 공사가 줄며 전월 대비 1.2% 감소했다.
경기 불확실성도 여전했다.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2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 2018년(7~12월) 이후 6년 만이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1포인트 내린 100.6으로 나타났다. 두 지수가 동시에 하락한 것도 지난 3월 이후 처음이다.
정부 관계자는 “투자·건설·소비 등 부문별 맞춤형 정책 처방으로 내수 회복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