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증료 책정나선 해운업계… “2주 이상시 내년까지 여파”

입력 2024-09-30 02:58
컨테이너들이 지난 달 21일 뉴저지 베이온항구에 쌓여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항만 노동자가 50년 만에 파업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면서 해운업계가 대응에 나서고 있다. 파업에 따른 추가 요금을 책정하고, 항구가 폐쇄됐을 때를 고려해 항구 이동 등 대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29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세계 2위 해운사인 덴마크 머스크는 다음 달 21일부터 미국 동안과 걸프항만(남부~멕시코만 연안 항구)을 거치는 모든 화물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1TEU(20피트 컨테이너) 기준 1500달러, 1FEU(40피트 컨테이너) 기준 3000달러다. 머스크는 홈페이지를 통해 “항만 파업이 화물 이동 지연 및 비용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며 “파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혼란이 가중되고, 수출입 활동과 컨테이너 가용성, 전반적인 운영 효율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도 내달 19일 이후 1TEU 기준 1500달러, 1FEU 기준 3000달러의 항만 부과료를 징수할 예정이다. 하팍로이드도 다음 달 19일부터 미국 동안과 걸프항만 지역으로 가는 선적물에 1TEU당 1000달러의 ‘업무 중단 추가 요금’을 부과한다.

프랑스의 CMA-CGM은 11일부터 수출 화물은 1TEU, 1FEU당 각각 800달러 1000달러를, 수입 화물은 1TEU당 1500달러의 ‘현지 항구 요금’이라는 명목의 할증료를 받기로 했다.

해운업계가 이같이 추가 요금 부과에 나선 건 항만 노동자가 파업에 나서면 해운업계는 예정된 기한 내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하지 못해 발생하는 비용인 ‘체선료’가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는 오는 30일까지 미국해양협회(USMX)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노조원 2만5000여명이 다음 달 1일부터 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해양조시기관인 씨 인텔리전스는 노조가 하루만 파업을 해도 적체 물량을 해소하는데 4~6일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2주간 파업이 계속된다면 2025년까지 항구 운영이 정상화되지 않을 수 있다고도 전망했다.

해운업계는 파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클리프 파이 양밍 회장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컨테이너를 미국 서부 해안으로 돌리기 시작했지만, 용량이 제한돼 있어 완전한 해결책은 아니다”며 “선박이 항구를 옮겨 다니며 하역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해운업체는 미국산 냉장화물 수출 예약 접수를 중단할 예정이다.

허경구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