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북 7차 핵실험 가능성… 미국 대선 전보다 이후 될 전망”

입력 2024-09-27 00:23
국회사진기자단

북한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 이후에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국가정보원의 전망이 나왔다. 다음 달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제시한 ‘적대적 두 국가론’에 따른 헌법 개정 가능성도 거론됐다.

국정원은 26일 국회 정보위원회의 비공개 현안 질의에서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미국 대선을 앞두고 할 가능성이 있지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공위성 발사 등 다양한 군사적 도발 수단이 있어 미 대선 이전보다는 이후가 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고 여야 정보위 간사들이 전했다.

정보위에 따르면 국정원은 “북한이 플루토늄 70여㎏과 고농축 우라늄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고농축 우라늄을 무기화할 경우 최소 두 자릿수 이상의 핵무기를 추가로 만들 수 있는 양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지난 13일 김 위원장의 고농축 우라늄(HEU) 제조시설 방문 사실을 이례적으로 공개한 배경과 관련해 국정원은 “대외적으로는 미 대선을 앞두고 미국을 의식한 행위라는 측면과 대내적으로는 경제 상황이 아주 안 좋은 상황에서 주민에게 자신감을 고취하기 위한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방문한 시설 위치에 대해서는 “과거 사례를 종합해볼 때 (평양 인근) 강선일 가능성이 높지만 확정적으로 답하기는 어렵다”고 답변했다. 국정원은 영변의 또 다른 원자로 가동 등 북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정원은 북한이 지난 18일 발사한 신형전술탄도미사일에 대해서는 “정밀타격 능력을 검증할 목적”이라며 “2발을 발사했는데 그중 1발이 표적지에 도달했다. 과거보다 조금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다음 달 7일로 예정된 북한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이 개정될 가능성도 보고됐다. 국정원은 “적대적 두 국가 방침에 따라 헌법 개정이나 추가적 입법 조치가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최근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언급한 ‘두 국가론’에 대해 조태용 국정원장은 “‘반헌법적’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더할 것도 뺄 것도 없다”고 답했다.

국정원은 북·러 관계에 대해서는 “상당히 지속적으로 개선, 강화되고 있다”며 “러시아가 북한에 대해 정제유 공급 등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을 주시 및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중 관계에 대해서는 “상당히 신경전이 오가고 있다. 많이 악화돼 있다”고 평가했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