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가 살아온 경험, 나이, 성별, 소득 등에 맞춰 소비하던 식의 고정관념이 무너지면서 집단의 차이는 줄어들었습니다. 내가 어떤 게 관심 있는지, 개개인의 차이가 커지는 시대를 맞았습니다.”
‘트렌드 코리아 2025’를 펴낸 김난도(사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25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출간 간담회에서 내년 트렌드 핵심 키워드로 ‘옴니보어(Omnivores)’를 꼽으며 한 말이다. 옴니보어는 잡식성을 뜻하지만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는 의미로 확장된다. 김 교수는 “스포츠에 열광하는 젊은 여성, 다이소에 가는 1000억 자산가처럼 성별이나 소득으로는 소비자를 분류할 수 없는 세상이 됐다”면서 “그보다는 취향이 뚜렷한 옴니보어 소비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주요 키워드는 ‘#아보하’. ‘아주 보통의 하루’의 줄임말이다. 의미가 변질된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의 대안적 성격이 강하다. 처음 소소한 소비라는 취지를 담고 있던 소확행은 ‘작은 사치’라는 의미로 변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에 따르면 #아보하는 과시적인 소확행과 달리 무탈하고 안온한 하루, 특별한 일 없이 그저 그런 하루에 대한 고마움을 상징한다. 아울러 남에게 과시하지 않고, 자신에게 집중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꾸미기 문화를 기반으로 소비자가 자신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토핑 경제’도 또 다른 키워드로 꼽혔다. 김 교수는 “유행했던 마라탕, 요아정, 버블티의 공통점은 본품보다 토핑에 돈 더 많이 쓴다는 것”이라며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토핑을 얹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분석했다.
이 밖에 아기 시절 판다 푸바오처럼 작고 귀여운 것들이 사랑받는다는 의미의 ‘무해력’, 기후 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그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한다는 뜻의 ‘기후 감수성’, 기술에 인간의 얼굴을 입히기 위한 움직임을 담은 ‘페이스테크’ 등도 내년 키워드로 제시됐다.
맹경환 선임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