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지도부 만찬이 잡힌 당일까지 윤 대통령과 한동훈 대표의 독대 불발을 놓고 책임 공방을 벌이며 불협화음을 냈다.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 사이에선 한 대표가 자기 정치를 위해 내부 분열을 일으킨다는 비판이 나왔다. 친한(친한동훈)계 인사들은 “형식을 따질 때냐”며 대통령실의 독대 거절에 대한 아쉬움을 숨기지 않았다.
한 대표는 24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각에서 자꾸 (제가 독대 요청을 언론에) 흘렸다고 얘기하는데 그게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여당 대표가 대통령 독대 요청을 한 게 보도되면 안 되는 사실인가. 그게 특별히 (대통령에 대한) 흠집내기나 모욕주기로 느껴지나”라고 되물었다. 대통령실이나 친윤계가 독대 무산 책임을 한 대표 측의 ‘언론플레이’로 돌리는 기류에 적극 반박한 것이다.
친윤계인 김기현 전 대표는 “대통령의 ‘역대급’ 체코 세일즈 순방 효과를 극대화하기는커녕 내부 문제로 스스로 덮어버리는 여당의 현주소를 직시해야 한다”며 “여당은 윤석열정부를 성공한 정부로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며, 차기 대권을 위한 내부 분열은 용인될 수 없다”고 페이스북을 통해 비판했다. 또 “우리 당에 긴밀한 소통과 협의의 전통이 사라지고 대립과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영세 의원도 YTN라디오에서 “한 대표가 공개적으로 독대 얘기를 나오게 한 건 사려 깊지 못한 행동이었다”며 “독대라는 건 이견이 있으면 어떻게 풀어갈지 같이 고민하고 물밑에서 조용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 측은 대통령실로 화살을 돌렸다. 한 친한계 인사는 통화에서 “대통령이 여당 대표를 만나는 게 시혜를 베푸는 것도 아니고, 밥 먹기 전 잠깐 시간 좀 내달라는 요청을 거절하는 건 이해가 안 간다”고 말했다. 장동혁 최고위원도 MBC라디오에 나와 “지금 현안들이 만찬 후에 다시 일정을 조율해 만나 논의할 만큼 그렇게 녹록하지 않다”며 “형식이나 절차가 현안보다 앞서갈 문제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철수 의원은 CBS라디오에서 “(독대를) 요청했다고 알려지는 것도, 거절당했다는 것도 정상적인 과정은 아니다. 정치하면서 처음 보는 광경”이라며 양측 모두를 비판했다. 한 중진 의원은 “여권이 직면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윤·한의 긴장 관계 해소”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대변인은 “유치찬란한 집안싸움을 멈추고 민생을 챙기라”고 촉구했다.
이종선 정우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