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은행 지급준비율(지준율)을 낮춰 189조원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정책금리도 인하하기로 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대담한 부양책이지만, 경기를 되살리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판궁성 중국인민은행장은 24일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최로 열린 금융 당국 합동 기자회견에서 “조만간 지준율을 0.5% 포인트 낮춰 금융시장에 장기유동성 1조 위안(약 189조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안에 지준율을 0.25~0.5% 포인트 더 인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민은행은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도 현재 1.7%에서 1.5%로 0.2% 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 판 행장은 “정책금리 조정 이후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가 약 3% 포인트 낮아지고, (사실상의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와 예금금리 등도 0.20~0.25% 포인트 낮아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내린 이후에도 LPR을 동결하며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인민은행은 주택시장 활성화를 위해 기존 주택 대출금리를 신규 주택 대출금리 수준으로 인하하고 2주택 대출 최저 계약금 비율을 현행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
주식시장 안정을 위해 증권·기금·보험사가 자산을 담보로 중앙은행에서 유동성을 공급받게 하는 제도도 신설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올해 ‘5% 안팎’의 경제성장 목표를 제시했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와 내수 부진, 대외 무역 갈등으로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로이터통신은 리서치 업체 캐피털이코노믹스의 분석을 인용해 “팬데믹 발발 이후 인민은행이 내놓은 가장 중요한 부양책”이라면서도 “올해 성장률 목표인 5% 안팎을 회복하려면 추가 재정 지원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도 “이자율과 관계없이 돈을 빌리려는 중국 기업이 거의 없다. 이들 기업은 대출을 갚을 만큼 충분한 매출이 가능할지 걱정한다”며 이번 조치의 효과에 의문을 표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