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수처는 공천개입 의혹 진상 속히 밝히길

입력 2024-09-25 00:32
국민일보DB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된 고발장을 접수받았다. 시민단체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은 엊그제 김 여사를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고발했다. 2022년 6월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공천을 받을 수 있도록 김 여사가 힘을 썼다는 의혹을 제기한 인터넷 매체 보도가 고발 근거였다. 이 매체는 경남 지역의 싱크탱크 미래한국연구소 회장 명태균씨가 지인과의 통화에서 자신이 김 여사에게 김 전 의원의 공천을 부탁했다고 자랑했다고 보도했다. 명씨는 해당 보도를 부인하고 있어서 이 보도만으로 김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을 사실로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정치권에서 날로 확산되고 있는 김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은 그냥 지나치기 어렵다. 이런 의혹을 방치하면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공수처는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해 고발 내용의 진위를 가려주기 바란다. 공수처가 여력이 없다면 김 전 의원과 명씨의 금전거래를 수사하고 있는 창원지검으로 사건을 이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사건은 검찰이 불기소하기로 했지만,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은 아직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김 여사가 공천개입 의혹으로 또다시 수사기관의 조사를 받아야 한다면 여간 심각한 일이 아니다. 만일 김 여사의 공천개입이 사실이라면 국정개입으로 비난받을 소지가 크다.

서울의소리는 김 여사가 4·10 총선에서 용인갑에 출마한 이원모 전 공직기강비서관의 전략공천에도 관여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대통령실은 김 여사와 불편한 관계에 있는 매체라고 보도 내용을 폄하하기보다 사실 관계를 명확하게 밝혀 의혹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대응할 가치가 없다는 식으로 뭉갰다가 명품백 사건이 얼마나 여권을 어려운 처지로 몰아갔는지 돌이켜 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