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시내 도로에 차량용 강철 방호울타리를 설치하기로 했다. 일방통행 도로의 표지판은 LED로 교체해 운전자의 방향 식별을 돕는다. 지난 9월 지하철 2호선 시청역 인근 교차로에서 역주행 사고가 발생해 9명이 사망하자, 시가 교통안전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시는 24일 시청에서 보행자 안전 강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보행자 안전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 데 따른 조치다. 시는 서울경찰청·각 자치구 등과 함께 시내 일방통행 구간 4168곳, 교통사고 관리 지점 1980곳, 보행자 밀집 지역 16개 권역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308억원을 투입해 개선이 먼저 필요한 400여곳을 내년까지 정비한다.
우선 급경사 급커브 도로 등 교통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도로 98곳에 차량용 방호울타리를 설치한다. 방호울타리는 강철 소재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충돌 시험을 통과한 SB1 등급이다. 중량 8톤 차량이 시속 55㎞, 15도 각도로 충돌해도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지금 설치된 울타리는 보행자 무단횡단을 막기 위한 용도로, 안전성이 취약하다.
시는 또 일방통행 이면도로 회전금지 표지판을 LED로 교체한다. 밝은 표지판으로 운전자가 주행 방향을 혼동하는 상황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먼저 올해 80곳을 교체한다. 교체 사업은 지속적으로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광화문광장 등 개방형 시민 공간 16곳엔 대형 화분과 볼라드(길말뚝)를 설치한다. 이를 통해 차량의 갑작스러운 진입을 일차적으로 방지한다.
보행 환경도 개선한다. 우선 보행자 안전을 위해 보도를 신설하거나 확장한다. 보행 공간이 넓지 않은 마들로 등 도로 44곳이 대상이다. 대각선 횡단보도를 구로구청 사거리 등 4곳에 추가 설치하고, 교통섬과 보도 사이 도로를 메우는 방안도 추진한다. 우회전 차량과 행인의 충돌을 방지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시는 경찰청·국토교통부와 고령자 맞춤형 운전 면허제도 개선 방안도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자동차 안전장치를 개발하고, 보급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