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도 일산 신도시 아파트 용적률을 300%로 높여 2만7000가구를 신규 공급하기로 했다. 이로써 일산을 끝으로 1기 신도시(분당·일산·평촌·중동·산본)에 대한 재건축 밑그림이 전부 공개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내용의 ‘일산 신도시의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을 공개하고 주민공람에 들어간다고 24일 밝혔다. 일산은 1기 신도시 5곳 중 평균 용적률(적정 개발 밀도)이 가장 낮다. 기본계획은 이 용적률을 두 배 가까이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기본계획에 따라 일산의 기준 용적률은 현행 169%에서 아파트 300%, 주상복합 360%로 오른다. 주택 수는 현재 10만4000가구에서 13만1000가구로 약 2만7000가구가 신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거주 가능 인구는 기존 24만명에서 6만명 늘어난 30만명으로 예측된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일산 신도시는 호수공원 문화공원 등 대표적인 도시환경을 유지하면서 노후 주거지 정비가 이뤄지게 된다. 주거·일자리·문화 등 융복합 도시 공간이 마련된다. 일산의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은 10.8㎡로 서울(4.6㎡)의 두 배 수준을 웃돈다.
정부는 1기 신도시 5곳의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을 전부 제시하면서 주택 14만2000가구의 추가공급 기반이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계획대로라면 1기 신도시는 2035년까지 현재 39만2000가구 규모에서 53만7000가구(정비사업 등 3000가구 추가 합산) 규모 도시로 성장한다.
이들 신도시 5곳의 기본계획은 주민공람 이후 지방의회 의견청취, 노후계획도시정비 지방위원회 심의, 경기도 승인 등의 절차를 거쳐 연내 기본계획 수립 완료를 목표로 추진된다. 정부는 앞서 공개한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방침’도 한 달간의 의견조회를 마치고 노후계획도시정비 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늦어도 11월 중 수립을 완료할 계획이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