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4일 “평생을 통일운동에 매진하면서 통일이 인생의 목표인 것처럼 이야기하던 많은 사람들이 북한이 ‘두 국가론’을 주장하자 갑자기 자신들의 주장을 급선회했다”며 “이는 자유민주주의 평화통일 추진 의무를 저버리는 반헌법적 발상”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최근 제기된 문재인 전 대통령의 ‘통일담론 전면 재검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남북한 두 개 국가 수용’ 주장을 직접 반박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요즘 정치권 일각에서 갑자기 ‘통일을 추진하지 말자’는 목소리도 나온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런 주장을 펴는 지난 정부 인사들을 겨냥해 “자신들의 통일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면 반(反)통일, 반민족 세력이라고 규탄하더니 하루아침에 입장을 180도 바꾼 것을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핵 공격도 불사하겠다며 ‘적대적 두 국가론’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 과연 가능한 얘기냐”고 되물었다. 이어 “통일을 포기하면 남북의 갈등과 대립은 더 첨예해지고, 한반도의 안보 위험도 더 커진다”며 “정부는 공허한 말과 수사가 아닌 강력한 힘과 원칙에 의한 진정한 평화를 구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사실상 흡수통일 의지를 피력함으로써 역대 정부의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었다”며 윤 대통령이 올해 광복절에 발표한 ‘8·15 통일 독트린’을 정면으로 겨눴다. 임 전 실장은 “객관적 현실을 수용하고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며 헌법상 영토 규정 수정·삭제를 제안했다. 여권은 이 주장들이 북한의 논리에 동조하는 것이라고 비판해 왔다.
윤 대통령은 한편 야당이 체코 원전 건설사업 관련 ‘덤핑’ 의혹을 제기하는 데 대해 “근거 없는 낭설”이라며 “참으로 개탄스럽다”고 밝혔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