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한 아파트 관리소장 김모씨는 최근 단지를 순찰하다 이파리에 작은 구멍이 여러 개 뚫린 식물을 발견했다. 나뭇잎에는 거미줄 같은 흰색의 얇은 그물이 쳐져 있었다. 그물에 붙어 있는 송충이처럼 보이는 곤충 5~6마리가 나뭇잎을 갉아먹고 있었다고 한다. 김씨는 “단지 내 나무 절반 이상이 이런 피해를 보고 있다”며 “나무가 죽어간다는 민원이 요즘 부쩍 늘었다”고 말했다.
황모(26)씨는 서울 종로구 청계천을 따라 뛰던 중 자신의 어깨와 팔에 무더기로 떨어지는 벌레를 봤다고 했다. 황씨는 “당시 주변을 살펴보니 나뭇잎 일부가 거미줄 같은 그물로 둘러싸여 있었다”며 “벌레가 닿은 부위가 두드러기처럼 빨갛게 달아오르고 간지러웠다”고 말했다.
벌레의 정체는 바로 미국흰불나방 유충이다. 송충이와 비슷하게 생긴 미국흰불나방 유충의 평균 길이는 30㎜ 정도다. 떼를 지어 사는 것이 특징이다. 유충은 활엽수나 과일나무 등의 나뭇잎을 갉아먹으며 성장한다. 이 과정에서 거미줄 같은 그물을 만들어 자신을 보호한다. 성충 한 마리는 600여개 알을 낳고 개체수를 빠르게 늘려 나간다.
이 유충은 과거 과수원이나 농지에서 주로 발견됐다. 올여름 역대급 더위 탓에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도심 가로수나 주택가 나무 등에도 출몰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보통 매년 6월과 8월 사이 두 번 정도 부화하는데 올해는 더운 날씨 때문에 9월에도 부화한 유충들이 다수 생존해 피해를 더 키웠다”고 말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달 23일 미국흰불나방 유충 피해가 지난해보다 15%가량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반영해 산림병해충 발생 예보 단계를 ‘경계’에서 ‘주의’로 상향했다. 주의는 두 번째로 높은 예보 단계다.
양영철 을지대 보건환경안전학과 교수는 23일 “유충이 다 자라면 각자 흩어져 살기 때문에 떼 지어 활동하는 부화 초기에 방제 작업을 해야 한다”며 “유충이 서식하는 나뭇가지 일부를 잘라내고 이를 태우는 방식으로 방제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글·사진=윤예솔 기자 pinetree2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