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자혜 허드슨문화재단 대표의 추천을 받아 국민일보 청년응원 프로젝트 갓플렉스(God Flex) 릴레이 인터뷰 스물네번째 주자로 나선 유원희(64) 더블유와이치과 원장은 지난 19일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청년들을 향해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주어진 것에 감사하며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라”고 권면했다.
유 원장은 고교 2학년 때 미국에 이민 간 후 뉴저지주립대학교에서 치의학 박사학위(DMD)를 취득하고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공중보건학(MPH)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미국에서 치과를 운영하다 1997년 한국에 돌아와 더블유와이치과를 개원했다. 그는 현재 국제치의학회(ICD) 한국회 부회장이자 1억원 이상 고액 기부자 클럽인 ‘아너 소사이어티’ 회원이다. 국제구호개발 비정부기구(NGO) 기아대책과 협력해 아프리카 우물 사업을 후원하며 꾸준히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유 원장이 처음부터 의사의 꿈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그는 원래 법조인이 되고 싶었으나 미국으로 이민가서 어려운 사람들의 생활을 접한 뒤 ‘남을 도울 수 있는 직업’을 꿈꿨다. 이에 치과의사라는 명확한 목표를 정했고 오로지 한 길만을 걸어왔다. 하지만 인생이 결코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약 20년 간의 미국 생활을 마치고 한국에 들어오자마자 IMF 사태를 맞아 힘든 시기를 보냈다. 이때 그에게 큰 도움이 된 것은 가족과 신앙이었다. 특히 출석하던 교회에서 성경통독 및 새벽예배에 참석하며 회복을 경험했다.
원래 유 원장의 집안은 기독교가 아닌 불교를 믿었다. 부모님들도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이런 집안에서 유 원장이 기독교 신앙을 갖는 것은 쉽지 않았다. 신앙을 갖게 된 계기는 우연찮게 찾아왔다. 중학교 3학년 때 학교에서 신앙이 좋은 한 친구를 만났다. 그를 따라 처음에는 별다른 생각없이 인천에 있는 교회를 출석했다. 여기서 예배와 찬양이 자신과 맞다는 것을 느꼈고 조금씩 신앙이 길러졌다. 그러다가 미국으로 이민을 간 후에 현지 교회를 다니면서 신앙이 급성장할 수 있었다. 유 원장은 불교 신자였던 부모님까지 전도를 했다. 현재 부모님을 비롯해 유 원장의 모든 가족들이 신앙을 갖게 되면서 집안은 진정한 기독교 공동체로 거듭나게 됐다.
유 원장을 대표하는 단어는 기부다. 그야말로 시도 때도 없이 기부를 한다. 결혼기념일이나 아들이 대학교를 졸업한 날 등 특정 날짜에 맞춰서 거액을 기부하곤 했다. 자신이 저술한 책 ‘매일 치과로 소풍가는 남자’의 인세도 어김없이 기부했다. 기부는 대를 이어 진행되고 있다. 두 명의 아들들도 1억원 기부를 약정했고 ‘선기부 후성공’이라는 삶의 원칙을 마음 속에 새기고 있다.
봉사도 빼놓을 수 없다. 기아대책과 함께 아프리카 등지에 가서 축구 잔디구장을 지어주거나 우물 파주기 사업, 염소 보내기 등을 행했다. 그는 “우리 자신들을 행복하게 하니까 기부를 하고 선행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액수와 규모가 중요한 게 아니라 꼭 필요한 일을 하는 그 마음이 가장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 원장은 이 시대 청년들을 향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내며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무엇보다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청년들은 부정적이고 남들과 비교하길 좋아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 미디어들이 이를 자극하는 경향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복은 마음에 있다. 자신이 갖고 있는 것에 감사하고 긍정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면서 “세상 가치관에 휩쓸려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페이스를 유지하며 꿈꾸는 곳으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원희 원장이 추천한 다음 인터뷰이
서숙양 작가
“미술작품마다 기독교적 색채
하나님의 일을 하는 작가”
서숙양 작가
“미술작품마다 기독교적 색채
하나님의 일을 하는 작가”
국민일보 청년응원 프로젝트 갓플렉스(God Flex) 릴레이 인터뷰 다음 주자는 서숙양(45) 작가다. 유원희 원장은 지난 19일 “그림에 있어 뛰어난 재능을 가진 작가이며 작품을 만들 때 항상 기도로 시작해 기도로 끝난다”며 서 작가를 추천했다.
서 작가는 홍익대 미술대학원 회화전공 석사 출신으로 평면은 물론 설치물 작업까지 다양한 작품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그의 작품에는 기독교적 색채가 깊게 밴 게 특징이다. 서 작가는 주로 ‘빛’에서 영감을 받아 작업한다. 성경 속 창세기에 나오는 첫 번째 하나님의 음성 “빛이 있으라”에서 울림과 감동을 받아 세상이 창조되던 그 순간의 빛을 작품에 녹인다. 특히 작품을 만들 때 순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단지 창조의 빛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하나의 재료에 불과하다. 순금으로 빛을 얹어가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세상의 찬란한 빛들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네 삶이 가장 반짝이는 빛이라는 것을 전하려 한다.
유 원장은 서 작가에 대해 “태초에 창조의 빛이라는 주제를 갖고 작품 활동을 하는 작가가 다소 생소할지 모르지만 이분이 바로 하나님의 일을 하는 작가라고 말할 수 있다”며 “이 시대 청년들이 서 작가를 통해 창조적 영감을 얻고 신앙적 교훈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글·사진=최경식 기자 k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