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39억5000만개 라면을 먹는 한국. 국민 1명당 연간 77개, 닷새에 한 번꼴로 라면을 먹는 셈이다. 라면은 한국 근현대사를 거치며 가장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았다.
한국 최초의 라면은 1963년에 나온 삼양라면이다. 삼양식품을 설립한 전중윤 회장은 일본의 라면 제조 기술을 도입했다. 초창기 삼양라면은 하얀 국물에 일본의 치킨라멘과 마찬가지로 닭고기로 맛을 냈다. 하지만 다소 느끼하다는 이유로 큰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당시 라면은 손님이 와야 대접할 수 있는 고급 음식이었기에 서민들 사이에서 수요가 많진 않았다. 고전하던 라면이 입맛을 사로잡기 시작한 건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혼분식 장려정책’(포스터)을 통해서다. 혼분식은 쌀 소비 절약을 위해 잡곡을 섞어 먹는 혼식과 밀가루 음식을 섭취하는 분식을 합친 말이다.
이 정책으로 라면은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60년대 중후반에 많은 기업이 라면에 뛰어들었다. 66년에는 롯데공업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 ‘롯데라면’은 나중에 ‘농심라면’으로 이름을 바꾼다. 70년대 가 될 무렵에는 삼양과 롯데(농심)만이 살아남았고, 80년대에는 한국야구르트(현재 팔도)와 청보라면 등이 가세했다. 87년에 청보라면을 인수한 게 지금의 오뚜기다.
라면의 인기는 산업화 속도와도 관련 있다. 60년대 뜀박질을 시작했던 한국 경제는 70년대에 이륙하기 시작했다. 서구에서 수백 년 걸린 산업화를 수십 년 만에 가능하게 한 건 가쁜 속도전이었다. 냄비, 물과 불만 있으면 어디서든 빠르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었던 라면은 이 속도전의 동반자였다. 이때부터 라면은 밤낮없이 일하는 노동자와 끼니를 때우는 청소년 등 남녀노소 할 것 없이 필수 식량으로 자리 잡았다.
라면이 한국인의 밥상에 오른 지 60여년이 지난 지금 라면 업계는 스테디셀러 제품인 ‘매운 국물 라면’을 꾸준히 리뉴얼 중이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9월 60주년을 기념해 대표제품 삼양라면을 리뉴얼했고 오뚜기는 최근 면발과 건더기, 국물까지 전면 개선한 진라면을 내놨다.
이다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