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티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이 19일 류광진 티몬 대표와 류화현 위메프 대표를 소환해 조사했다. 지난 7월 말 검찰이 전담수사팀을 꾸린 지 한 달 반 만이다. 검찰 수사가 속도감 있게 진행되면서 이번 사태의 정점으로 지목된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에 대한 조사도 조만간 진행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검 티메프 전담수사팀(팀장 이준동 부장검사)은 19일 류광진 대표와 류화현 대표를 각각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들은 앞서 압수물 포렌식 참관 등을 위해 검찰에 출석한 적은 있지만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되기는 처음이다.
검찰은 티메프가 입점 업체들에 줘야 할 판매대금 500억원이 모회사 큐텐의 미국 이커머스 업체 ‘위시’ 인수자금에 쓰인 것으로 본다. 이 같은 의혹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가 적용됐다. 검찰은 또 티메프 경영진이 판매대금을 지급할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상품권 할인 판매 등을 통해 돌려막기식으로 1조4000억원대 사기 영업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위시 인수자금 활용의 최종 책임자가 누구인지, 판매대금 지급이 어렵다는 상황 등을 ‘윗선’이 인지했는지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류광진 대표는 검찰에 출석하면서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위시 인수에 자금을 대는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면서 “저는 법인 통장, 인감, OTP 카드를 본 적이 없고 제가 갖고 있지 않은 법인 도장이 찍혔다”고 말했다. 이어 “(위메프와 달리) 티몬은 대금 정산 지연의 징후가 없었다”면서 “본사 차원의 지원도 없고 해서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을 막지 못한 게 (미정산) 사태의 원인”이라고 말했다. 위시 인수에 관한 책임뿐 아니라 사기 영업을 했다는 혐의도 사실상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그는 구 대표가 티몬에 5% 역마진 프로모션 등을 지시했는지에 대해선 “정확한 퍼센트까지 기억나지 않는다”면서도 “큐익스프레스 물량을 늘리는 것이 그룹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고 큐익스프레스가 나스닥에 상장돼야 큐텐그룹이 성장할 수 있다는 말을 (구 대표가) 계속했다”고 했다. 반면 류화현 대표는 취재진에게 “조사 끝나고 말씀드리겠다”고만 했다.
검찰은 티메프 사태의 최종 책임소재를 가리기 위한 수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구 대표 조사도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구 대표는 지난 7월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위시 인수과정에서 계열사 판매대금이 일부 사용됐다고 인정하면서도 400억원은 곧장 상환했다고 주장했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