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탄두 중량을 4.5t까지 늘린 신형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내륙의 표적에 명중시킨 장면을 19일 공개했다. 특히 북한은 순항미사일을 함께 쏘면서 교란작전도 펼쳤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8일 신형전술탄도미사일 ‘화성포-11다-4.5’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통신은 “시험발사는 초대형 탄두를 장착한 미사일로 중등사거리 320㎞의 목표명중 정확도와 초대형 탄두 폭발위력을 확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320㎞의 설정 사거리는 주한미군기지 캠프 험프리스를 겨냥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장을 직접 지도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우리는 핵 무력을 계속 증강하는 것과 함께 상용무기 부문에서도 세계 최강의 군사기술력과 압도적인 공격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북한 주장에 따르면 화성포-11다-4.5는 ‘북한판 이스칸데르’라 불리는 KN-23 단거리탄도미사일의 탄두를 4.5t 고중량으로 개량한 미사일이다. 앞서 지난 7월 1일 황해남도 장연에서 두 발을 시험발사했는데, 한 발은 600여㎞를 비행했으나 다른 한 발은 120㎞밖에 비행하지 못했다. 우리 군은 미사일이 평양 인근 내륙에 떨어진 점에 비춰 시험발사에 실패한 것으로 분석했었다.
북한은 첫 발사 때와 달리 이번엔 미사일이 내륙에 떨어지는 사진을 여러 장 공개했다. 시험발사 실패 지적을 의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신뢰도가 높아야 내륙에 발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미사일에 대한 정확성을 과시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는 “탄착 지점은 함경북도 산악지역”이라며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의도적으로 내륙에 쐈다고 밝힌 경우는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화성포-11다-4.5는 북한 전술핵인 화산-31의 투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아직 완성도가 높다고 예단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석좌연구위원은 “북한이 화성포-11다-4.5로 핵과 재래식 능력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주의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스스로 밝힌 중등사거리(250㎞)가 아니라 320㎞ 지점에 탄착한 것을 봤을 때 사거리 조절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우리 군이 별도로 언급하지 않은 순항미사일 발사 사실도 공개했다.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 등 다종의 미사일을 섞어 발사해 한·미 감시자산에 교란을 주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순항미사일은 탄도미사일보다 느리고 파괴력은 작지만 낮은 고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감시가 어렵다.
박준상 이택현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