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낮 12시. 점심시간을 알리는 종이 울리자 경기도 평택 은혜중고등학교 소강당 문이 열렸다. 교문 밖까지 들리는 찬양 소리를 따라 학생들이 줄지어 들어왔다. 이곳에서 진행되는 ‘목요찬양예배’에 참석한 학생은 200여명. 이 가운데 90% 가까이가 교회에 다니지 않는 이들이었다.
“주님의 임재 앞에서~.” 이날 찬양 인도를 맡은 백석대 졸업생 조유현(29) 강도사가 CCM ‘주님의 임재 앞에서’를 선창하자 학생들은 “앞에서!”라며 후창했다. 학생들은 조 강도사가 이끄는 박수와 호응에 맞춰 찬양을 신나게 따라 불렀다. 은혜중고등학교에서 학교복음화 예배로 불리는 이런 예배가 드려진지는 올해로 4년째다. 매주 목요일 자율동아리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3명으로 시작해 지금은 고등학생 200명, 중학생 150명이 참석하는 교내 최대 동아리로 자리매김했다.
비신자 학생들이 점심시간 40분을 쪼개 예배를 드리는 이유는 뭘까.
학생들이 말하는 ‘찬양과 간식, 유대감’은 예배 문턱을 낮춘 접근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교회에 다니지 않는 박효을(16)양은 친구를 따라 지난 4월부터 예배에 참석했다. 박양은 “친구, 선배들과 모여 찬양 부르는 분위기가 너무 신난다”며 “간식도 주고 친구들도 만날 수 있어서 매주 출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양을 학교 예배에 전도한 주예하(16)양은 학교에 찬양 부르는 모임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예배에 참석하게 됐다. 그는 “여기 선생님들이 친근하게 대해 주시니 학교 예배에 출석하던 친구들이 신앙이 생겨 지역교회에 출석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은혜중고등학교는 학교복음화 사역자 양성과정을 배우는 신대원 학생들의 실습장이기도 하다. 이형노(37) 전도사는 지난해 백석대에서 ‘학원복음화 인큐베이팅’ 교육 과정을 통해 학교복음화 사역을 시작했다. 이 전도사는 “현장에서 실습하며 학생들과 친밀감을 쌓는 것이 우선돼야 함을 느낀다”며 “교회가 사용하는 표현은 교회 밖 아이들에게 너무 어렵다. 아이들이 복음을 접할 수 있도록 눈높이 맞추는 법을 배운다”고 전했다.
학생들에 의해 예배가 세워지지만 이곳처럼 학생 규모가 커지거나 졸업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면 예배가 중단되는 한계가 있다. 학원복음화인큐베이팅 대표 최새롬 목사는 “스쿨처치의 생명주기를 대략 3년으로 본다. 학생들이 졸업하면 처음 세운 예배가 사라지기 때문”이라며 “생명주기를 늘리는 방법은 지역교회와 연결하는 것이다. 지역교회가 학교에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충남 아산 행복샘교회(정대명 목사)에서 탐방을 나온 유인호(36) 사역자는 “교회 밖 아이들 전도하는 것을 어렵게 생각했었다”며 “순수하게 찬양하는 학생들을 보며 전도의 용기를 얻었다”고 귀띔했다.
평택=박윤서 기자 pyun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