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천권역에 오는 2032년까지 도시철도가 개통된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도 도입된다.
광주시는 주요 거점별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해 가칭 상무광천권 도시철도와 BRT 교통체계를 동시에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전날 광천권역 특별교통대책 정책브리핑을 갖고 ‘도시 속 도시(임팩트시티)’로 개발 중인 광천권역 일대를 자동차 중심에서 ‘대자보(대중교통, 자전거, 보행)’ 교통체계로 전환하겠다고 설명했다.
상무광천권 도시철도 노선은 기아 오토랜드 광주(기아차 광주공장)에서 신세계백화점 확장을 앞둔 종합버스터미널과 더현대 광주 등 대형 복합쇼핑몰이 들어서는 임동 방직공장터를 거쳐 광주역 후문으로 연결되는 7.78㎞다. 지하에서만 공사를 진행하는 지하터널(NATM) 공법을 활용해 시민과 인근 소상인들의 불이익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도시철도에 앞서 2027년 말부터 운행에 들어가는 BRT는 옛 대동고~백운광장~농성역~광천사거리~광주공고를 잇는 8.67㎞ 구간이다. 도시철도가 광천권역 동~서 방면을 지하에서 잇는다면 급행버스가 달리는 BRT는 남~북을 관통하는 교통수요를 맡게 된다.
시는 국토교통부 사전 협의, 주민공청회, 시의회 의견 청취 등을 거쳐 올해 안에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승인을 요청할 방침이다. 2026년 하반기부터 2029년까지 기본 계획 수립과 실시 설계를 진행한 뒤 2032년 완공한다는 게 목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엄청난 교통수요가 발생하게 될 광천권역은 지역 교통정책의 큰 도전과제인 동시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자동차 중심에서 대중교통·자전거·보행자 중심 교통정책으로 대전환을 시작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