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 전 사위 서모씨의 특혜 채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문재인정부 청와대 행정관 신모씨와 이상직 전 의원이 2019~2020년 수십 차례 연락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신씨가 서씨 채용 의혹이 제기되자 이 전 의원과 관련 내용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신씨는 법원에서 관련 진술을 전면 거부했다.
서울남부지법 형사2단독 한정석 부장판사는 9일 문재인정부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반에서 근무했던 신씨에 대한 공판 전 증인신문을 진행했다. 신씨는 지난 6월 검찰 참고인 조사에서 진술거부권을 행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형사소송법상 범죄 수사에 없어선 안 될 사실을 안다고 인정되는 사람이 검찰 출석이나 진술을 거부할 경우 검사는 판사에게 증인신문을 청구할 수 있다.
서씨 채용 의혹은 타이이스타젯 실소유주로 알려진 이 전 의원이 2018년 3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 이사장으로 임명된 것과 그해 7월 서씨의 타이이스타젯 취업 사이에 대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2019년 3월 곽상도 전 의원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의혹을 제기했다.
검찰은 이날 법정에서 “신씨가 문 전 대통령 딸 다혜씨와 사위 서씨 관리 업무를 담당했고, 다혜씨 부동산 등 사적 업무에도 직접 관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전 의원이 2019년 1월부터 2020년 1월 사이 신씨에게 총 63회 전화 통화와 메시지를 발신하고, 신씨는 같은 기간 이 전 의원에게 22회 발신한 내역을 언급하며 신씨에게 “내용이 기억나느냐”고 물었다. 검찰은 이 전 의원이 이스타항공 배임·횡령 의혹으로 2020년 11월 23일 주거지 압수수색을 당한 당일 신씨와 카카오톡 대화를 나눈 내역에 대해서도 물었다. 검찰 수사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들이 어떤 이유로 연락했는지 확인하겠다는 취지였다.
신씨는 증언을 전면 거부했다. 신씨 측 변호인은 전주지검이 신씨 휴대전화 압수수색과 관련해 법원에 낸 재항고 이유서 내용을 언급하며 “검찰이 ‘신씨가 청와대와 이상직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며 사건에 관여한 걸로 보인다’고 명시했다”며 “피의자 전환 상황에 놓여 있어 증언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검찰은 “국가적 의혹이 있는 사건의 진실을 확인하려는 것인데 증언 거부에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질문하고 신씨가 증언을 거부하는 상황이 반복되자 재판부는 “더 질문하는 게 의미 있느냐”며 신문을 중단했다. 향후 검찰이 신씨와 이 전 의원 간의 대화 내용과 윗선 보고 여부를 규명할지가 수사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날 검찰은 신씨가 대통령 친인척 관련 업무를 보고한 상급자에 대해 “당시 조국 민정수석이냐, 임종석 비서실장이냐”고 묻기도 했다.
재판부는 이스타항공 횡령·배임 사건으로 전주교도소에 수감 중인 이 전 의원에게도 발언권을 부여했으나 이 전 의원은 “존경하는 재판장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전 의원은 수의를 입고 영상으로 신문에 참여했다.
신지호 기자 p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