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 지도부가 9일 의정갈등 해법 모색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을 논의했으나 의료계 참여를 공동으로 요구하자는 원론적 입장을 내는 데 그쳤다. 의료계가 ‘2025·2026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전제조건으로 내건 채 요지부동인 상황에서 정치권은 ‘대화 호소’ 외에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여권에서는 의료계 없이 협의체를 ‘개문발차’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야당은 의료계가 빠진 협의체 논의는 무의미하다며 온도차를 드러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한 뒤 “협의체에 의료계가 참여하도록 공동으로 노력하고 요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은 해결을 위한 중재와 협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무엇보다 의료계의 대승적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민주당은 여·야·의·정 협의체가 의료대란 위기를 해소할 마중물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의료계가 하루빨리 대화 테이블로 나와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여·야·정이 한목소리로 의료계의 협의체 합류를 요청하고 있지만 대한의사협회는 2025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시작된 이날도 의대 증원 취소와 함께 필수의료정책 패키지 폐지를 요구했다. 의료개혁 개시 이전 상태로 되돌려야 대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정부 책임론 부각에도 초점을 맞췄다. 이 대표는 “정부는 한 대표가 말한 여·야·의·정 협의체로 책임을 떠넘기기만 했을 뿐 어떻게 하겠다는 입장이 없다”고 지적했다. 민주당은 또 의료계를 제외한 여·야·정 협의체라도 우선 띄우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지금의 당면 과제는 의사들의 현장 복귀인 만큼 의료계가 불참하는 협의체에는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추석 연휴 전 협의체 출범은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현수 최승욱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