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중재 역할을 자임하고 나선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리더십이 정치적 시험대에 올랐다. 한 대표로서는 여·야·의·정 협의체 성사를 위해 모두가 조금씩 양보하면서도 아무도 판을 깨지 않을 묘수가 절실한 상황이다.
핵심은 의대 정원 증원을 놓고 평행선을 달리는 대통령실과 의료계의 입장 차 조율이다. 대한의사협회는 2025·2026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전제 조건으로 내걸지만, 대통령실은 이를 사실상 대화 의지가 없는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야당도 의료계가 빠진 협의체 구성은 무의미하다며 여당을 압박하고 있다.
한 대표는 우선 국민 생명권에 대한 초당적 접근을 강조하며 여론에 호소하는 전략을 펴고 있다. 한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협의체 의제는 단 하나, 국민의 건강”이라며 “이건 국민들 모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동시에 전공의들을 향한 ‘당근책’도 꺼냈다. 한 대표는 “정부가 전공의에 대한 소환 등 사법적 대응을 신중히 해달라는 부탁을 드린다”고 말했다. 경찰이 일부 전공의들을 ‘전공의 집단사직 공모’ 등 혐의로 연이어 소환하는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물밑에서 의료계를 설득하는 작업도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결국은 전공의의 현장 복귀가 핵심 포인트”라며 “한 대표도 이 부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부 의료계 단체와는 협의체 참여를 놓고 긍정적인 얘기가 오가고 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한 대표가 ‘갈등 조정자’ 면모를 점차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 대표는 지난달 25일 고위당정에서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를 중재안으로 제시했으나 대통령실에 거절당했다. 그러나 이후 지난 5일 장상윤 대통령실 사회수석을 만나 의료 현장 상황을 설명하며 설득에 나섰다. 이어 지난 6일 여·야·의·정 협의체 카드를 던졌고, 이번엔 대통령실도 ‘제로베이스 논의’를 언급하며 호응했다.
한 대표는 같은 기간 원내 인사들과 조찬·오찬·만찬에 걸쳐 비공개 회동을 하면서 내부의 우호적 여론 형성에도 공을 들였다고 한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대표가 평소의 속도전 스타일과 달리 최대의 인내심과 절제력을 발휘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여권에서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 의료대란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 대화의 물꼬를 트는 지렛대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는 기류도 읽힌다. 국민의힘 핵심 관계자는 “지금 한 대표가 기댈 데는 국민 여론밖에 없다”며 “내부에서는 ‘추석 밥상 민심’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