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이 장기화하면서 촌각을 다투는 고위험 신생아 환자를 응급 치료할 광주지역 의료시스템이 무너지고 있다. 초미숙아(400g 미만 출생) 등에 대한 진료는 광주의 경우 상급병원 2곳에서만 가능하다.
9일 전남대병원에 따르면 지난 2월 전공의 집단이탈 이후 신생아 집중 치료실(NICU)이 포화상태다. 일손이 부족하자 지난 7월부터 담당 병상 수를 45개에서 33개로 축소했다. 집중 치료실은 현재 꽉 찬 상황이다.
조선대병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산부인과 인력난으로 분만실 병상이 현재 3개에 불과하다. 특히 산부인과 전공의가 1명도 없는 데다 촉탁 의료진도 고용하지 않아 의료공백 우려도 커지고 있다. 산부인과 교수 역시 2명뿐으로 이들이 야간당직을 서지 않으면 오후 5시까지만 아이를 낳을 수 있다.
고위험군 산모가 임신 6개월(24~25주)을 전후해 조산할 경우 저체중으로 태어나는 초미숙아를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 2차 병원에서는 조산이 임박한 환자를 어쩔 수 없이 다른 지역으로 보내고 있다.
미숙아들은 다양한 합병증을 앓는다. 재태기간이 짧고 체중이 적을수록 질환 빈도와 중증도가 높아 치료경험이 많은 의료진이 제때 돌보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
미숙아 등의 최후 보루인 광주권 상급병원 2곳이 한계상황에 봉착하고 신생아 출산을 위한 의료 기반이 붕괴하면서 신혼부부 등이 출산을 미루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셈이다.
전국적으로 낮은 의료수가와 신생아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로 산부인과와 소아과를 기피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지 오래다. 광주에서는 지난해 9월 지역에서 가장 큰 산부인과 병원인 운암동 문화여성병원이 ‘지속적인 분만 감소’를 이유로 문을 닫기도 했다.
20여년 경력의 한 산부인과 의사는 “추석 연휴에 고위험군 분만수술이나 초미숙아 출산 상황이 발생하면 사실상 상급병원에서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며 “아이도 제때 낳고 태어나자마자 아프지 말아야 한다고 임산부가 마음을 먹어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