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영향으로 데워진 바닷물로 인한 피해는 쉽게 회복되지 않는다. 대기와 달리 수온의 하강 속도가 느린 탓이다. 노동진(사진) 수협중앙회장은 올해 여름 고수온 현상을 “재해가 아닌 재앙”이라고 표현했다. 높아진 해수 온도로 인한 피해는 양식장에 그치지 않고 연근해 어업 생태계마저 바꾸며 어업인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다. 노 회장은 “어업인들의 업종 전환, 기후변화 대응 품종 개발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노 회장은 9일 국민일보와 서면 인터뷰에서 “지난달 말 충남·경남도 양식장 현장을 긴급 점검했는데 ‘재해가 아니라 재앙’이라 할 정도로 피해 상황이 매우 심각하다”고 운을 뗐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고수온 양식장 피해는 4275만 마리에 달한다. 노 회장은 “5일 기준 피해액이 260억원 수준”이라며 “양식보험 가입자 사고만 집계한 수치라서 실제 피해액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는 일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국민이 선호하는 품종인 광어 우럭 전복 등의 피해가 크다. 노 회장은 “양식 수산물은 전체 수산물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고 덧붙였다.
어업 활동으로 잡아들이는 나머지 30% 수산물 역시 기후변화 위기에 직면한 건 매한가지다. 2013년만 하더라도 동해 수산물 위판량은 서해의 1.4배에 달했다. 하지만 지난해 기준 동해는 10만3281t, 서해는 15만4368t의 수산물이 위판되며 실적이 역전됐다. 노 회장은 “지난해 서해 오징어 어획량이 전체의 절반 수준을 차지하고 동해 대표 어종이 방어가 될 정도로 어장 지도가 급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환경 변화로 지역별 어획량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노 회장은 문제 해결을 위해 기민한 대응을 주문했다. 그는 “기후 변화 추세가 가속할 경우를 대비한 구체적 대책이 시급하다”며 “어업인이 업종을 신속하게 바꾸고 어선을 줄이며 적절한 보상을 하는 정책도 그중 하나”라고 말했다. 이어 “기후변화 대응 품종 개발도 서둘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나마 다행인 건 후쿠시마 방류수 논란에 따른 피해가 덜하다는 점이다. 노 회장은 “지금까지 8차례 방류됐지만 소비 급감 신호는 안 보인다”며 “정부와 수협이 수산물 검사를 철저히 해 신뢰가 쌓인 탓”이라고 분석했다. 정치권의 관련 논쟁에 대해선 “국민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