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라이트 솔직히 잘 몰라… 인사 기준은 국가 충성심·역량”

입력 2024-08-30 00:18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열린 국정브리핑 및 기자회견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9일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을 계기로 불거진 ‘뉴라이트’ 인사 등용 논란에 대해 “저는 솔직히 뉴라이트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고 말했다. 김 관장에 대해서는 “저도 개인적으로 전혀 모르는 분”이라고 했다. 야권의 ‘친일 프레임’ 공세는 사실과 거리가 있다는 취지였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의를 받고 “뉴라이트를 언급하는 분마다 정의가 다른 것 같다”며 “저는 진보적 우파라는 식으로 들었는데, 요새는 언론에서 그동안 제가 본 것과 다른 정의가 이뤄져 그런 건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어 “우리 정부는 국가에 대한 충성심, 직책을 맡을 수 있는 역량, 이 두 가지를 보고 인사한다”며 “뉴라이트냐 뭐냐를 안 따진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김 관장 임명 과정에 대해 “독립기념관장을 추천하는 위원회에서 세 분을 국가보훈부 장관에게 추천하고, 보훈부 장관이 한 분을 대통령에게 제청하는데 보통 1번으로 올라온 분을 제청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는 장관이 위원회를 거쳐 1번으로 제청한 분에 대한 인사를 거부해본 적이 없다”며 “(김 관장은) 우리 정부의 입장하고 관련 있는 인사는 아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지난 광복절 경축사에서 발표한 ‘8·15 통일 독트린’과 관련해 “우리의 통일 방향은 반드시 평화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자유주의 체제란 전쟁을 방어해야 하는 경우 외에는 침략 전쟁은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이 본질”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미·일 선거 일정이 한·미·일 협력 관계에 미칠 영향을 두고는 “한·미·일 캠프데이비드 협력 체계는 (미국·일본의) 지도자 변경이 있다고 해서 바뀔 것이 아니다”며 “공식 외교 문건을 통해 지속가능 효력이 그대로 인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공화·민주당 정강정책에 ‘북한 비핵화’가 빠진 데 대해선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를 거부하고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위반하는 행위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그동안 미국의 입장이나 전략과는 완전히 배치되는 문제”라고 말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의 체코 원전 건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에 대해서는 “지난 정부 5년간 탈원전으로 원전 생태계가 고사 일보 직전까지 갔지만 어렵게 살려내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해서 안심할 순 없다”며 “최종 계약서에 사인할 때까지 정부와 한수원, 한전 등이 전부 힘을 합쳐 뛰어야 한다”고 말했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