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석을 앞두고 사과, 배, 배추 등 추석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대치인 17만t으로 늘린다. 온·오프라인 성수품 할인 행사에 700억원을 투입해 최대 60%까지 소비자가격을 인하하고, 올 하반기 전통시장 소득공제율도 80%로 상향한다.
정부는 28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추석 민생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회의 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 가격이 급등한 사과, 배, 축산물 등의 가격이 안정적 흐름에 들어선 상황”이라며 “이번 추석은 크게 물가 걱정을 안 하셔도 된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정부는 추석 물가 관리를 위해 성수품 공급과 할인 지원금 규모를 모두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렸다. 먼저 사과(1만5700t)와 배(1만4300t)의 농협 계약출하 물량을 평소 대비 3배로 늘렸다. 배추와 무도 총 1만2000t을 공급한다. 송 장관은 “사과와 배는 수확량이 늘어 가격이 안정권에 들어섰고, 배추도 이번 주 수확이 본격화되면서 추석 전 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할인 지원금도 지난해(670억원)보다 30억원 추가했다. 정부 할인(20%)과 업체 할인 폭을 더해 최대 60%까지 소비자 할인 폭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전통시장 할인 혜택도 확대한다. 전통시장에서 6만7000원 이상 장을 보면 현장에서 온누리상품권 2만원을 환급한다. 전통시장에서 쓴 비용의 소득공제율을 현행 40%에서 80%로 높이는 내용의 법 개정도 추진한다. 전통시장 상인에게 점포당 1000만원까지 성수품 구매 자금 총 50억원을 지원한다. 소상공인 전기료 지원 대상도 연 매출 1억400만원 미만까지 확대한다.
소비 활성화를 통한 내수 부양도 추진한다. 온누리상품권 월 구매 한도를 50만원 더 늘리고, 농축산물 전용인 ‘농할 상품권’은 10만원을 3만원 할인한 7만원에 판매한다. 전년 하반기 대비 5% 초과해 증가한 카드사용액에 적용되는 소득공제율도 10%에서 20%로 확대한다.
숙박비를 할인해주는 숙박쿠폰도 비수도권 대상으로 50만장 배포한다. 명절 자금 여건이 어려운 소상공인·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총 42조9600억원 규모의 대출·보증도 지원한다. 대학생·취업준비생 등에게 소액 금융을 지원하는 햇살론 유스 공급 규모도 1000억원 늘린다. 음식점업에 대한 외국인 고용 허가 기준을 완화하고, 추석 전까지 허가 절차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추석연휴 기간인 다음 달 15~18일 고속도로 통행료를 면제한다. 고속철도 역귀성 시 요금을 30~40% 할인(14∼18일)하고, 국내선 이용 고객에 대해 공항 주차장 및 연안 여객터미널 이용료·주차비를 면제(14~18일)한다. 정부는 전공의 공백 등에 대응해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특히 전기차 화재 예방을 위해 추석 전 일정 규모 이상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등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고속도로 휴게소에선 전기차 긴급 충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종=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