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 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제주도내 전기차는 지난해 말 기준 3만9393대로 실제 운행차량의 9.56%를 차지한다. 전국 평균 2.1%를 훨씬 웃도는 수치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제주도는 올해 승용차와 화물차 등 총 6316대에 구매보조금을 지원할 계획이었다. 특히 올해는 차종별 기본 보조금 외에 다자녀·차상위·생애최초·청년 구매자 등에 대해 50만~200만원의 추가 보조금이 신설하고, 가정용 충전기 설치비 지원과 내연기관 차량 폐차비 상향 조정으로 전기차 구매 신청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7월 말까지 판매 물량은 1944대로, 총 보급계획의 30.7%에 그치고 있다. 2022년 6월 보급률 40%, 지난해 10월 말 보급률 60%와 비교하면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이런 상황 속에 최근 제주도청 인터넷신문고에는 입주민 반대로 전기차 차주가 차고지증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민원이 올라왔다. 입도 4년차라고 밝힌 한 도민은 “집을 이사했는데 입주민들이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으로 차고지증명을 해주지 않고 있다”며 “2주 안에 차고지증명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내야 하고, 집 주변에 차고지로 인정받을 수 있는 유료 주차장도 없어 난감한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26일 “올해 전반적으로 전기차 구매가 감소했고, 하반기 보조금 문의가 많아지던 시기에 인천에서 전기차 화재가 발생하면서 구매 문의가 다시 줄었다”면서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가계 경제 부담과 화재 불신 등이 구매 감소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