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드론의 비행제어장치, 배터리, 모터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핵심부품의 국산화 도시 선점에 나섰다.
창원시는 최근 홍남표 창원시장이 국회를 찾아 드론 제조 특화단지 조성 지원을 건의했다고 25일 밝혔다.
세계 드론 산업규모는 2021년 약 32조원에서 2032년 146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규모는 2021년 8406억원에서 2032년 3조9000억원까지의 성장이 전망된다. 그러나 드론 부품의 국산화율은 현재 10%도 되지 않는다. 국내 드론 기업 대부분 기술 투자가 어려운 영세업체로 가격·기술 경쟁력에서 중국 업체 등에 뒤처지고 있다.
창원시는 정부주관 드론 실증도시 구축 공모사업에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 선정돼 ‘드론으로 높고 넓게, 수요자 중심의 드론 일상화 도시’ 구축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에는 42개 도서지역, 산림 4만여㏊, 해안선 313㎞에 달하는 창원의 지리적 특성에 맞춰 도서산간 드론배송시스템 구축과 상시 재난·안전 모니터링을 통한 위급상황 대처, 해양쓰레기 불법투기 감시 등을 실증했다.
시는 내년 국비 사업으로 스마트 드론 시험평가 및 지원센터 구축, 핵심부품 시험·검사·실증 장비 구축 기술 개발 지원 등 드론 제조 특화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창원에는 드론 산업의 핵심 요소인 소재·전기·전자부품을 연구하는 한국재료연구원과 한국전기연구원이 있고, 기계·항공기 부품 연구·생산 기업들이 집적화돼 있다.
홍 시장은 “앞으로 창원시가 드론 제조 국산화에 앞장서 국내 드론 산업 활성화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