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 닻 올린 자립청년 지원 공공영역서 제도화 고민해야”

입력 2024-08-22 01:02 수정 2024-08-26 21:15
‘자립준비청년에 희망디딤돌을’ 캠페인 자문위원인 김진석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지난 14일 서울여대 연구실에서 진행된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이번 캠페인과 관련해 보완해야 할 점을 설명하고 있다. 김 교수는 지원 사업을 공공 영역에서 제도화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이병주 기자

민간 영역에서 첫발을 뗀 자립준비청년 지원 사업이 연속성을 갖추기 위해선 공공 영역에서 제도적 뒷받침이 이뤄져야 한다. ‘자립준비청년에 희망디딤돌을’ 캠페인 자문위원인 김진석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난 14일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정부가 조명하지 못했던 자립준비청년 관련 의제를 삼성이 먼저 끌어올린 것은 의미가 크다. 이를 공공 영역에서 제도화하는 방안을 고민할 때”라고 말했다. 다음은 김 교수와의 일문일답.

-희망디딤돌 사업이 갖는 의의는.

“삼성이 2013년 희망디딤돌 사업을 시작할 때는 정부가 한 마디로 제 역할을 못 할 때였다. 그런 상황에서 삼성이 보호종료아동이라는 특정 대상에 대해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나섰고, 최근 몇 년간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졌다. 이렇게 된 데는 삼성의 역할이 상당했다.”

-민간 주도 지원 사업의 장점은 무엇인가.

“민간 주도 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유연하게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정 대상에 대해서 여러 형태의 지원을 추진력 있게 할 수 있다. 희망디딤돌도 이 같은 장점을 잘 살린 사업이다. 반면 정부 차원에서 사업을 집행하다 보면 지원 집단의 자격, 지원 수준 등이 규격화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정책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자립준비청년을 멘토링으로 지원하는 ‘디딤돌가족’에 조언하고 싶은 점이 있다면.

“멘토는 어디까지나 청년이 스스로 도움이 필요하다고 손 내밀었을 때 뒤에서 든든하게 기다리고 있다가 도움을 주는 존재여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청년들이 ‘이런저런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라는 식으로 계속 부각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

-구체적으로 보완할 부분은.

“최대한 멘토의 존재가 전면에 드러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청년들에게 ‘너희들이 필요하면 우리가 도움을 줄 수 있다’ 정도의 메시지를 주는 게 멘토의 역할이다. 멘토링 사업을 기획하는 사람, 운영하는 사람의 심도 있는 고민과 청년들을 가까이서 대면하는 멘토들에 대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희망디딤돌 사업에 제언해주고 싶은 점이 있다면.

“삼성희망디딤돌 사업이 민간 영역을 넘어서서 공공 영역에서 제도화됐으면 좋겠다. 물론 삼성이 자립준비청년 지원 관련 선도자 역할을 한 것은 의미 있다. 다만 이후에는 지자체 중심이 됐든, 중앙정부 중심이 됐든 해당 사업이 제도 안에 스며들 수 있도록 기획을 해보면 좋겠다. 희망디딤돌 1.0 주거 지원 사업도 삼성이 일정 기간 기숙사를 운영한 뒤 지자체가 이어받는 식으로 설계를 해놨다. 이러한 모델을 이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