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필수의료 확충 위해 장학생 선발이나 별도 입학정원도 고려해야”

입력 2024-08-22 01:05
연합뉴스

의료개혁 공청회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 인력을 확충하기 위해 의과대학 입학 단계부터 별도 입학 정원을 신설하거나 장학생을 선발하는 등 선제적으로 인재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21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혁신적 의료공급 및 이용체계 개편 방안’에 대한 공청회를 열고 지역·필수의료분야 인력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공청회에서 여나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자료집을 통해 의대 입학단계에서 지역·필수의료 별도 정원을 신설하거나, 별도 학과를 신설해 인재를 선발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또 의대 과정 단계에서는 지역·필수의료 장학생을 선발해 학비와 생활비, 해외 연수비를 지급하며 희망병원 전공의 지원을 보장하는 혜택을 주는 방식으로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대 졸업 후에는 전공의 과정을 마친 후 전문의 채용을 보장하는 형태로 지역·필수 의료 인력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다고도 봤다. 여 위원은 “지역·필수 의료를 선택하는 것에 대한 ‘미래 비전’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방안도 소개됐다. 유정민 복지부 의료체계혁신과장은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을 하반기부터 3년간 시행해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3차 의료기관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경증 환자의 대형병원 쏠림을 완화하기 위해선 의료소비자가 적정 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당부도 나왔다. 이상일 울산대의대 교수는 “의료 품질·가격 정보에 관한 수집 기전이 갖춰져 있지 않다”며 “공급자 유형별로 의료 품질과 가격에 관한 정보가 폭넓게 수집돼 공개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의사단체는 정부가 추진 중인 의료개혁안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한의사협회는 “의료계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는 일방적 의개특위 추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고 비판했다. 의협과 전공의단체는 특위 참여를 거부하고 있는 상태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