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케어러·지원소외 빈곤층 등 자립준비청년 개념 더 넓혀야”

입력 2024-08-22 01:01
‘자립준비청년에 희망디딤돌을’ 캠페인 자문위원인 허수연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지난 13일 한양대 연구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허 교수는 자립준비청년의 개념을 좀 더 큰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현규 기자

삼성희망디딤돌은 아동양육 및 가정위탁시설에서 생활하다 보호종료 기간 만료를 앞뒀거나 보호종료 후 5년이 지나지 않은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국민일보는 지난해 삼성과 함께 자립준비청년의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멘토링 사업인 ‘디딤돌 가족’을 진행해 왔다.

‘자립준비청년에 희망디딤돌을’ 캠페인 자문위원인 허수연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난 13일 국민일보 인터뷰에서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청소년을 민간에서 선도적으로 접근해 지원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일”이라고 평가했다. 허 교수는 “민간에서 계속 사각지대를 발굴해 도울 필요가 있다”면서 자립준비청년의 범위를 확대해 영케어러(가족돌봄청년)나 각종 지원에서 소외된 빈곤 청년 등에게 지원의 문을 넓혀주는 방안을 제안했다. 다음은 허 교수와의 일문일답.

-희망디딤돌 사업의 의의를 평가해달라.

“한국 사회에서 아동·청소년은 가족이 보살피는 게 당연하다는 사회적 풍조 탓에 이들은 여전히 큰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이런 상황에서 영향력 있는 어른들이 아동·청소년기에서 청년으로 이양하는 시기의 아이들을 돕겠다고 나선 것은 의미가 크다. 희망디딤돌 1.0에서 주거 지원을 시작으로 2.0에선 취업과 경제적 자립 등으로 범위를 확장해가는 점도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정부와 달리 민간이 주도하는 캠페인이 특별히 초점을 맞춰야 할 부분은.

“정부는 각 부처별로 사업을 하다 보니 전체적인 통일성과 연계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또 실제 지원은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지역별 격차도 나타난다. 반면 민간 영역은 정부가 하지 못했던 과감한 시도를 발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취업 지원과 관련해 삼성이란 기업이 우리 사회에서 갖는 ‘상징성’이 있다. 정부가 접근하기 어려운 정책 분야 중 하나가 일자리인데, 민간 취업 시장을 잘 알고 있는 삼성이 일자리 관련 지원을 특화해 지원한다면 자립준비청년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자립준비청년을 멘토링하는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보다 멘토들이 준비돼 있어야 한다. 자립준비청년들이 힘들어하는 것이 ‘반복되는 버림’이다. 멘토들이 책임감을 갖고 지속력 있게 멘토링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경험 많은 슈퍼바이저(운영·감독자)가 멘토들에게 아이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을 반드시 알려줘야 한다.”

-보완해야 할 방향이 있다면.

“자립준비청년이라는 개념을 좀 더 큰 시각에서 접근할 필요성도 있다. 가족을 부양하는 영케어러나 지원 사각지대에 있는 빈곤층 청년들도 자립을 꿈꾸지만, 현실에선 어려움이 많다. 이들의 자립을 도울 사회적 관심은 여전히 부족하다. 특히 이런 청년들에 대한 지원은 정부 차원에서 접근하기 어려운 만큼, 민간에서 계속 사각지대를 발굴해 도울 필요가 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