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종합병원의 응급실 파행 운영이 빈번해지고 있다. 세종충남대병원은 응급실 전문의 3명의 퇴직 여파로 22일과 29일 야간 응급진료를 멈추게 됐다. 충남 천안의 순천향대병원과 단국대병원 응급실도 비슷한 차질을 겪고 있고, 충북대병원과 속초의료원은 정상화했지만 역시 같은 상황을 경험했다. 전국 응급의료기관 408곳 중 24곳이 응급실 병상을 축소했다고 한다. 이에 구급대의 응급환자 이송이 어려워지자 최근 소방공무원 노조가 이례적으로 응급실 대책을 촉구하기도 했다.
가장 큰 원인은 의료진 부족이다. 지난 2월 병원을 떠난 전공의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전문의만으로 빠듯하게 응급실을 지탱해온 터라 한두 명의 결원도 운영에 차질을 빚는 상황이 됐다. 의사 파업에 응급실 이용을 자제하던 경증 환자의 발길이 다시 늘었고, 코로나19 재유행이 이를 더욱 부추기면서 특히 인력난에 허덕여온 지방 응급실부터 경고음이 터져 나오는 것이다. 추석 연휴를 기점으로 수도권에도 그 타격이 미칠 거라는 ‘응급실 9월 고비설’까지 등장했다.
의료 공백에 대처한 보건 당국의 비상진료체계는 그동안 비교적 원활하게 기능했다. 심각한 대란 없이 중증 및 응급 환자 진료를 유지했지만, 벌써 6개월이 됐다. 의료진의 피로가 누적된 터라, 팽팽한 긴장 속에 여유 없이 굴러온 진료체계는 작은 충격에도 휘청거릴 상황이다. 그런 충격의 진원이 응급실일 거라는 경고등이 켜진 지금,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다음 주에는 코로나19 환자가 35만명까지 치솟으리라 예상돼 더욱 그렇다. 현재 44%인 응급실 경증 환자를 획기적으로 줄일 대책과 응급실 의료 인력을 확보할 특단의 조치를 강구해야 할 때가 됐다. 보건복지부가 20일 내놓은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100% 인상 등으로는 과부하를 막기에 충분치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