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152곳에서 다음 달 ‘유보통합’ 실험이 시작된다. 이르면 2026년 이뤄지는 유치원·어린이집 통합에 앞서 교육·보육 서비스 질을 높이는 통합 모델을 만들려는 목적이다.
교육부는 20일 ‘영·유아 학교(가칭) 시범사업’에 전국 152개 기관이 선정돼 다음 달 1일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유치원 68곳, 어린이집 84곳이 선정됐다. 지난해 기준 유치원·어린이집이 3만7395곳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0.4%가 시범학교로 지정된 것이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43곳으로 가장 많다. 이어 경북 20곳, 인천 8곳 순이었다. 대구와 경북은 자체 유보통합 모델을 개발하고 관련 예산·지원금을 확보해둔 상태여서 다른 지역보다 많은 기관이 선정됐다.
시범학교는 ‘충분한 운영 시간 보장’ ‘교사 대 영유아 수 적정화’ ‘수요 맞춤 교육·보육 프로그램 강화’ ‘교사의 전문성 및 역량 강화’ 등의 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기본 운영시간은 교육과정과 연장과정(유치원 방과후 과정)을 합쳐 8시간이다. 학부모들이 요구할 경우 아침·저녁 돌봄 4시간을 추가한다. 학부모 돌봄 수요를 조사해 돌봄 전담 인력을 채용하거나 기존 교육청 돌봄 사업과 연계해 돌봄 서비스를 강화한다.
교사 1명이 담당하는 영유아 수도 줄인다. 교사 1인당 0세 2명, 3세 13명, 4세 15명, 5세 18명을 기준으로 이를 초과하는 기관은 교사를 추가 배치한다. 연장과정을 전담하는 교사가 없는 기관의 경우 전담교사를 배치키로 했다.
최근 정서·행동 위기 아동이 늘고 코로나19 확산으로 영유아의 정서발달 격차가 커졌다고 보고 지역의 전문가 혹은 전문기관과 연계하거나 정서·심리지원센터를 설치해 미취학 아동의 정서도 살피기로 했다. 시범학교에 투입되는 예산은 262억원이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영·유아학교는 유보통합이 제도화되기 전에 통합의 과제들을 선제적으로 적용하는 기관”이라며 “시범사업을 통해 교육·보육 활동이 상향평준화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도경 교육전문기자